단원 그림으로 추정되는 10쪽 병풍...신윤복 풍속도도
단원 김홍도가 지난 1788년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10쪽짜리 병풍과 혜원 신윤복의 낙관이 찍힌 풍속도가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견됐다.
22일 재미 민간사학자 유광언씨에 따르면 미국 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박물관은 단원의 낙관이 찍힌 중국 황실 사냥도 등 1869점의 한국 예술품과 민속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단원의 병풍은 제목은 따로 기재돼 있지 않고 로버트 C. 베르빌이란 사람이 기증한 21점의 예술품 중 하나라는 것만 알려졌다. 그러나 그림 마지막에 '戊申(무신)'과 '檀園(단원)'이란 글자가 쓰여있고 낙관도 선명하게 찍혀 있어 김홍도의 작품이 확실시 된다.
특히 단원의 그림은 주로 당시 임금인 정조의 직접적인 명령이 있거나 고객이 일대일로 의뢰했을 때 그려진 데다 병풍의 크기를 고려하면 위작일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보인다.
또 높이 2m, 폭 4.5m의 거대한 병풍이 실물로 그대로 보존된데다 한지에 칠한 색채도 선명하게 남아있을 만큼 보존 상태도 양호해 그 가치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함께 발견된 'Family Life'라고 적힌 족자 그림 2점은 전형적인 혜원 신윤복의 풍속도를 담았다. 두 그림 모두 상단 가운데 '蕙園(혜원)'이란 글자와 낙관이 찍혀 있어 신윤복의 작품임을 입증하고 있다.
단원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병풍과 마찬가지로 족자 그림도 보관 상태가 매우 양호하고 족자봉도 상아로 만들어져 있다는 박물관 측 설명을 보면 최고급품으로 제작됐음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로버트 C. 베르빌이 기증한 21점 작품 중에는 조선시대 식사용품과 금강산을 묘사한 족자, 서화 족자, 결혼 행렬을 그린 그림 2점, 화살과 화살통, 12세기 고려시대 동화병 등이 포함돼 있다.
그러나 사진으로 볼 수 있는 것은 단원과 혜원의 작품 뿐이다. 유광언씨는 "한국 정부가 작품들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박물관 소장품을 최소한 온라인으로 국민이 감상할 수 있도록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