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국가 생존을 위해 정보는 반드시 지켜져야
정치권은 국가와 국민의 안위를 우선해서 고민하길
7월 18일 국정원의 직원 한 사람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2012년도 HT 사에서 구매한 해킹 프로그램이 정치적으로 논란에 휩싸이자 부담감을 못 이기고 극단적인 방법을 택한 것이다. 위 회사의 해킹 프로그램은 35개국 97개 기관에 판매되었다. HT사로부터 유출된 ‘Client Overview_list_20150603’파일의 기록을 살펴보면 그 사실관계는 더욱 명확해지고, 이 파일에는 이미 해킹을 시도한 기관들의 명칭도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 기관들은 모두 ‘노코멘트’로 대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논란 없이 받아들여졌다는 게 대한민국 사회에 크게 다르다. 당연히 들여와서 사용해야 할 프로그램에 대해 왜 이런 논란이 한국에서만 일어나고 있는지 놀라운 일이다.
훼손된 ‘무명의 헌신’
“업무에 대한 열정으로 그리고 직원의 의무로 일했습니다. 지나친 업무에 대한 욕심이 오늘의 사태를 일으킨 듯합니다.”
18일 스스로 목숨을 끊은 국정원 직원의 유서 내용 중 일부이다. 그가 말한 오늘의 사태란 무엇일까. 여론과 정치권은 국정원의 민간 사찰을 기정사실화해버린 채 국정원의 명확한 해명을 요구했다. 국가 최고 정보기관의 내부 정보의 사실 여부를 입증하기 위한 증거를 대중에 공개하라고 까지 한다. 상황을 이성적으로 판단해야 할 정치권은 여론보다 앞장 서 국가안보에 관한 정보활동을 공개하라고 압박한다.
국가정보원은 국가안보 수호와 국익 증진의 사명을 받은 국가 최고의 정보기관이다. 또한 안보와 국익을 저해하는 국내외의 어떠한 위협에도 대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한다. 국정원의 정보 수준은 국정원의 힘, 곧 국가의 힘과 귀결된다. 국민이 국가정보기관을 신뢰하고 의지해야하는, 단 하나의 가장 명백한 근거이다. 특히 21세기 정보사회에 있어 사이버 작전은 가장 핵심적인 분야이며, 최상의 보안이 요구되는 분야이다. ‘자유와 진리를 향한 무명의 헌신’이라는 원훈 아래 그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국가의 안녕을 위해 국가안보의 최전방선에서 싸우고 있다.
그들의 헌신은 보이지 않기에 더욱 값지다
현재 대한민국은 분단 상황에 놓여 있다.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 있어 국가 안보의 수호는 필수적이다. 유사한 상황에 있는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과의 대치 국면 속에서 국가 수호를 위해 강력한 정보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의 CIA, 영국의 M16과 견주는 모사드가 이스라엘의 최고정보기관이다. 모사드가 세상에 존재를 각인시킨 건 1972년 팔레스타인 무장 테러 사건 때이다.
이스라엘 정보기관 모사드의 메이어 다간 전 국장. 사진 출처 lasmonedasdejudas.wordpress.com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