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정립·연구유족회는 21일 기자회견을 통해 4.3추념일 지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지정 연기를 촉구했다. 제주4.3정립·연구유족회 제공
제주4.3정립연구·유족회는 21일 오전 11시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제주4.3추념일 지정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일방적인 4.3추념일 지정을 연기하라고 촉구했다.
유족회는 “아직 제주4.3사건 성격규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4.3추념일을 지정을 선행하는 것은 본말이 전도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족회는 “제주4.3정부보고서의 서문에서 고건 전총리가 4.3사건의 성격규명은 후대의 사가들에게 미룬다고 했는데, 결론 부분에는 서청의 탄압에 대한 저항으로 4.3사건이 발발하였다고 결론지었다”며 “이는 국무총리의 발언을 무시하고 자신들의 뜻대로 보고서를 작성한 좌익적 4.3 위원들의 하극상”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유족회는 4.3사건을 주도한 반국가적 범죄자들을 희생자 명단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밝히며 4.3추념일은 무고한 희생자들을 위한 추념일이 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유족회는 제외되어야 할 대상으로 △수괴급 공산무장병력 지휘관 및 중간 간부 △남로당 제주도당의 핵심간부 △무장 유격대와 협력한 진압군경 및 동인들의 가족 △제헌선거 관여자 등을 살해한 자 등을 언급했다.
한편, 유족회 소속 이광후 사무처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4.3사건은) 대한민국의 선거를 방해하기 위해 남로당의 지령을 받고 무장폭도들이 일으킨 사건”이라며 “대한민국을 부정하기 위해 일으킨 4.3사건은 민주항쟁이라 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4.3사건은 역사적인 비극이며 있어서는 안될 일”이라며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무고한 시민들이 희생된 것은 사실이며 그것까지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