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서울디지텍고등학교 앞에서 교학사 역사 교과서 채택 철회를 위한 용산 중구지역 시민모임과 용산 교육희망 네트워크, 용산 시민연대, 서울교육단체협의회 소속 회원들이 교학사 역사교과서 채택 철회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서울디지텍고등학교가 “교학사 교과서를 참고용 도서로 추가 지정해 활용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진보시민단체가 학교 정문 앞에서 항의집회를 여는 등 철회 압박을 이어가고 있다.
앞서 디지텍고는 “교과협의회와 간부회의를 통해 교학사 교과서를 조건부 추가 지정하기로 했다”며 “비상교육 교과서를 수업용으로 채택하고, 교학사 교과서는 학교 도서관 등에 비치해 교사와 학생들의 참고자료로 사용할 방침”이라고 9일 밝혔다.
이후 디지텍고는 ‘교학사 교과서 복수채택’ 논란에 휩싸였고, 감독관청인 서울시교육청이 “수업시간에 학습 참고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므로 복수채택이라고 볼 수 없다”고 10일 밝혔다. 하지만 진보진영에서는 여전히 ‘교학사 교과서 채택철회’를 외치며 공세를 펼치고 있다.
시민단체 서울교육단체협의회와 중구용산시민모임은 10일 오전 디지텍고 정문 앞에서 집회를 열고, “교학사 구하기 소영웅주의 퍼포먼스에 학생을 희생양 삼지 말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미 비상교육 교과서를 채택한 상황에서 교학사 교과서 조건부 추가 지정을 추진하는 것은 학교장의 독단”이라며 “친일 교과서 구하기를 중단하라”고 외쳤다. “교학사 교과서를 사들이는 데 학교 예산을 쓰지 말고 여름에 덥고 겨울에 추운 교실 챙기는 데부터 써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학교측도 학부모와 시민단체의 빗발치는 항의전화에 곤욕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디지텍고의 한 교사는 10일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어제까지 당직한 교사들은 전화받을 여력이 부족할 정도로 항의전화를 많이 받았다”며 “학부모님이나 시민단체, 지역주민들이 ‘교학사 교과서를 왜 채택했느냐’며 항의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디지텍고 관계자는 “현재 방학이기 때문에 교사 2명 정도가 학교에 나와 있는 상황인데 하루동안 수십통의 전화가 걸려와 교사들이 업무를 못할 지경”이라고 전했다.
한편, 서상기 새누리당 의원이 10일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014학년도 고교 한국사 교과서 채택 현황’에 따르면 교학사 교과서를 채택한 곳은 전국 1715개교 중 단 한곳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도 이날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디지텍고는 몇 권만 비치용으로 구입해 학습참고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므로 서울 시내 고교의 교학사 채택률은 0%”라고 말했다.
전국 고교 중 가장 많은 채택을 받은 교과서는 미래엔(525곳·30.6%)으로 집계됐고, 비상교육(516곳·30%), 천재교육(283곳·16.5%) 등의 순으로 채택률이 높게 나타났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