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 민주당 대표가 지난달 2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전병헌 원내대표와 무언가 논의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민주당 지도부는 1일 정부가 지난주 한중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 및 6자회담에 합의 한 것을 환영하면서도 국가정보원의 정치개입 은폐의혹, 경제민주화 공약 부진 등에 대해 책임을 추궁하며 박근혜 대통령과 여당을 강하게 압박했다.
김한길 민주당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지난해 대선 당시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사전 유출 의혹, 국가정보원의 정치개입 의혹 등과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이 분명한 입장을 밝힐 때가 됐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어제 박 대통령께서 방중 외교를 마치고 돌아왔다. 수고했다”고 운을 뗀 뒤 “박 대통령이 한중 정상회담을 준비하느라 미뤄뒀던 내치문제에 힘을 쏟을 때가 됐다”고 박 대통령을 겨냥해 공세를 이어갔다.
그는 이어 “(박 대통령은) 지난 대선 전후 저지른 탈법적이고 공작적인 행태의 전모를 숨김없이 밝히고 관련자들을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처벌하겠다는 의지를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그러면서 “6월 국회가 이틀 밖에 남지 않았다. 한손에 민주주의, 한손에 민생을 들고 나아갈 것”이라며 “박 대통령과 정부, 여당은 소모적인 서해 북방한계선(NLL)논란 와중에 경제민주화를 실종시킨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양승조 최고위원도 이날 박 대통령을 겨냥해 “국민들이 국정원 게이트를 바라보는 시각은 단호하다. 박 대통령이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라며 “박 대통령은 권영세 주중대사, 김무성 의원 뒤에 숨지말고 당당히 나서야 한다”고 질타했다.
박혜자 최고위원 역시 “새누리당의 국정원 국정조사 특위 위원들의 면면을 보면 과연 새누리당이 국정조사를 제대로 할 생각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국정조사 원천무효를 주장했던 권성동 의원과 지난 대선에서 NLL 논란을 일으킨 정문헌 의원 등이 특위에 들어왔다. 이것은 국정원 조사특위가 아니라 국정원 방어특위”라고 비난했다.
이와 함께 민주당 지도부는 이날 국가기록원에 보관돼 있는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원본 및 부속자료 열람과 관련, 여야가 공동으로 자료제출요구서를 제출할 것을 새누리당에 제안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우리당 문재인 의원은 NLL과 관련해 새누리당 주장이 사실이면 정계를 은퇴하겠다고 공언했다. 이제 새누리당 답할 차례”고 전했다.
전 원내대표 또 남북정상회담 회의록과 그 부속자료 일체를 열람할 것을 거듭 제안하며 “열람을 통해 (노무현 전 대통령이 NLL 포기발언 여부)그간의 쟁점과 주장에 대한 진위를 가리고 그에 따른 책임 소재를 가리는 조사 방식 및 절차도 협의해 나가자”고 촉구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