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민·관 합동 공개재현 실험 실시 “급발진 현상 없었다”
국토교통부가 자동차 급발진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민·관 합동으로 공개 재현실험을 실시했지만 결국 급발진 현상을 밝혀내지는 못했다.
국토부는 “급발진 현상이 발생한다고 주장하는 상황을 인위적으로 조성해 지난 26일과 27일에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주행시험장에서 공개적으로 실험한 결과, 엔진출력 이상 급등과 같은 급발진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급발진 재현실험은 급발진 제안서 국민공모와 평가위원회에서 선정한 6건, 급발진연구회 주장 및 2009년 미국 토요타 차량 급발진 원인으로 제기된 내용 등 총 8건을 대상으로, 재현실험은 제안자가 요구한 실험조건을 갖추어 주고 제안자가 직접 시연하는 방식으로 추진됐다.
국민공모 6건의 급발진 실험의 내용은 ▲엔진제어장치(ECU)의 습기 ▲엔진제어장치에 전기적 충격 ▲주행 중 가속페달과 제동페달을 동시에 밟을 경우 제동력이 상실 ▲엔진제어장치에 전기충격 및 발전기 고장 ▲엔진제어장치 가열 및 회로 단선 ▲연소실내 카본퇴적 등으로, 전기적 충격을 제외한 5건의 실험에서 모두 이상 현상이 재현되지는 않았다.
또한 지난 5월 27일 급발진연구회에서 ‘진공배력장치의 공기압력 이상(압력서지현상)'으로 스로틀밸브가 열려 급가속이 일어날 수 있다고 발표한 가설에 대한 공개 검증결과도 압력서지 현상을 가정하고 인위적으로 스로틀 밸브를 강제로 개방하는 순간 자동차는 안전모드로 전환되고 급가속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2009년 미국 도요타 차량의 급발진의 원인로 제기된 가속페달 감지센서 고장을 가정한 경우의 재현에서도, 감지센스에 인위적인 전압을 가해봤지만 엔진제어장치는 이를 고장으로 인식하고 안전모드로 전환돼 엔진출력 상승 등 특이한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에 국토부는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는 급발진 현상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이런 실험 결과에도 불구하고 급발진으로 추정되는 사고가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고, 급발진이 어떠한 원인 때문에 발생하는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앞으로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급발진 조사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계속될 것”이라며 “그동안의 민관 합동조사반 조사 및 이번 공개재현실험 결과를 제3의 기관에 의뢰해 신뢰성 검증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