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3승 정민철, 역대 ‘최다승 2위’
완벽한 부활, 새로운 기록사나이
한화 정민철(35)은 18일 두산과의 대전 홈경기에서 5이닝 동안 4피안타 1볼넷으로 4실점(3자책)했으나 타선의 지원과 불펜의 도움으로 승리투수가 됐다. 투구내용만 보면 쑥스러운 승리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날 승리는 정민철과 한국프로야구에 매우 의미 있는 승리였다. 이날 승리로 정민철은 지난 2003년(11승) 이후 4년만의 10승 고지를 등정했다. 하지만 그보다 더 뜻 깊은 것은 개인통산 153승을 달성했다는 사실. 이강철(152승)을 밀어내고 역대 개인통산 최다승 2위로 올라서게 됐다. 이제 정민철보다 많은 승수를 쌓은 투수는 ‘200승 투수’ 송진우(201승)밖에 없다.
1990년대 한국프로야구를 대표하는 오른손 투수였던 정민철은 선동렬 삼성 감독이 현역 시절 직접 후계자로 지목했을 정도로 가공할만한 위력과 함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지닌 투수였다. 2000년 일본프로야구 진출하기 전까지 한국프로야구의 역사를 새로 써갈 투수로 부족함이 없었다. 1992년부터 99년까지 8년간 무려 59차례 완투를 기록했으며, 8시즌 연속으로 두 자릿수 승수를 달성했다. 2점대 방어율 시즌도 4차례나 보냈다. 전성기 정민철의 불같은 강속구와 폭포수 커브 그리고 뛰어난 완투능력까지 갖춰 안정된 경기운영과 내구성은 모두가 고개를 끄덕이고 수긍할 수밖에 없을 정도로 훌륭했다.
일본에서 기대만큼 성과를 올리지 못한 채 2002년 국내로 돌아온 정민철은 그러나 더 이상 예전의 정민철이 아니었다. 특히 2003시즌 종료 후 팔꿈치 수술을 받은 것이 정민철에게는 치명적이었다. 정민철의 제구력과 경기운영도 모두 150km대의 강속구가 뒷받침되어 있었기에 위력을 발휘할 수 있었지만 강속구를 잃은 정민철은 과녁의 목표물이 훤히 보이는데도 과녁을 맞히지 못해 고전하는 양궁선수와 다를 바 없었다. 2004년에는 단 1승도 올리지 못하는 수모도 겪었다. 정민철의 완벽에 가까운 피칭을 모두가 고개를 끄덕였지만 그 때부터는 모두가 고개를 가로젓기 시작했다. 한 물 간 투수라는 표현까지 이어졌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정민철은 기교파 투수로 완벽 변신하며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는데 성공했다. 특히 지난해 막판부터 팔꿈치 통증이 사라진 것이 기교파로도 성공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볼 끝에 더욱 힘이 실리면서 변화구에도 위력이 더욱 동반된 것이다. 팔꿈치 통증이 사라지자 겨우내 충분한 훈련을 소화할 수 있었던 덕분에 내구성도 좋아졌다. 지난 4년간 정민철의 선발등판 평균이닝은 4.86이닝이었지만, 올 시즌에는 6.10이닝으로 리그 전체 4위에 해당한다. 게다가 9이닝 당 볼넷은 겨우 1.55개에 불과하다. 이 부문 리그 전체 1위. 기교파 투수로 변신한 정민철의 제구력이 얼마나 정교한지를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올 시즌 부활로 정민철은 각종 기록을 새로 쓰고 있다. 지난 5월4일 대전 KIA전에서는 9이닝 무실점으로 완봉승을 기록, 역대 2번째로 20완봉승을 달성했다. 선동렬(29회) 다음으로 가장 많은 완봉승을 기록하고 있는 투수가 정민철이다. 18일 두산전 승리로 개인통산 10번째 두 자릿수 승수를 달성, 이 부문에서 이강철(10회)과 함께 어깨를 나란히 했다. 내년에는 송진우(11회)의 11시즌 두 자릿수 승수 달성도 기대할만하다. 게다가 이날 경기에서 정민철은 이강철(2204이닝)을 제치고 역대 투구이닝 2위(2209이닝)로 발돋움했다(1위는 송진우 - 2846⅓이닝). 기록의 사나이라는 수식어가 아깝지 않다. 사실 정민철은 일본으로 떠나기 전부터 이강철에 이어 사상 2번째로 8년 연속 두 자릿수 승수라는 괄목할만한 기록을 세운 기록의 사나이였다.
정민철은 올해로 우리나이 36살의 베테랑이다. 많다면 많은 나이지만, 42살의 송진우도 현역이다. 흥미로운 것은 송진우가 강속구 투수에서 부상을 당한 후 기교파 투수로 변신, 롱런하고 있다는 점이다. 정민철도 비슷한 행보를 걸어가고 있으며 그가 지금껏 쌓아온 누적기록도 송진우 못지않다. 20대 젊은 시절의 1990년대가 야구인생 성공스토리 제1막이었다면, 30대 베테랑이 된 지금은 정민철의 야구인생 성공스토리 제2막이다.
[관련기사]
☞‘연속출장’ 의미를 잃다…한화 이범호 8월타율 5푼9리
데일리안 스포츠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