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석 전 농림수산식품부 농업통상정책관은 1일 미국산 쇠고기 협상의 ‘부실협상’ 논란과 관련, “(이번 협상은) 미국이 우리에게 선물을 준 것”이라고 말해 파문이 예상된다.
민동석 전 농림수산식품부 농업통상정책관은 1일 미국산 쇠고기 협상의 ‘부실협상’ 논란과 관련, “(이번 협상은) 미국이 우리에게 선물을 준 것”이라고 말해 파문이 예상된다.
민 전 정책관은 이날 국회 쇠고기 국정조사 특위의 기관보고에 출석, 야당이 제기하는 ‘캠프 데이비드 숙박료’, ‘한·미 정상회담용 선물’ 논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한나라당 김기현 의원의 질문에 “숙박료라는 말은 듣기가 거북하다”며 “선물을 줬다고 하면 우리가 미국에게 준 게 아니라 미국이 우리에게 준 것”이라고 강변했다.
민 전 정책관은 “협상이 결렬되면 이명박 대통령과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서로 만나서 얼마든 다시 하자고 할 수 있었던 것 아니냐”면서 “정치적 거래는 전혀 없었다”고 주장했다.
민 전 정책관의 발언에 민주노동당 강기갑 의원이 강력 항의하는 등 야권 의원들이 즉각 반발하고 나섰음에도 민 전 정책관은 “국민이 보고 있어 사실대로 말한다”고 자신의 소신임을 강조한 뒤 “정상회담을 앞두고 급했다고 하면 미국이 더 급했다는 인상을 받았다. 한국 대통령을 초청해 놓고 결렬되면 안 된다고 생각한 것은 우리가 아니라 미국”이라고 강조했다.
민 전 정책관의 발언에 대해 야권 의원들은 “쇠고기 국조에 나온 국회의원들을 무시하는 발언”이라며 맹비난하며 정회를 요구했다.
민주당 강기정 의원은 “사실이 아니라 엉터리 발언이다. 이 자리에 나온 우리들을 무시하는 발언이다. 모멸감을 느끼며 이런 식으론 국정조사를 진행할 수 없다”고 민 전 정책관의 공식 사과를 요구했다.
같은 당 김상희 의원도 “쇠고기 국조 특위가 열린 것은 이번 쇠고기 협상이 문제가 있었다는 데에 여야 의원 모두가 공감했기 때문”이라면서 “그런데 농식품부 관료가 이 문제의식에 대해 상반된 인식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태로는 국조가 무의미하다”고 성토했다.
김동철 의원은 “대한민국 정부 관료가 맞느냐”고 성토했고, 김우남 의원은 “선물을 받았다고 하는 사람에게 우리가 훈장을 주지 못할망정 괴롭히고 있는 것이냐”고 비꼰 뒤 회의장을 박차고 일어났다.
민주노동당 강기갑 의원 역시 “이번 협상이 잘못됐다고 국민들이 들고 일어났고 이명박 대통령이 뼈저린 반성을 했다고 했는데 어떻게 이런 답변을 가만히 듣고 있어야 하느냐”면서 “이는 국민과 대통령을 무시하는 발언이다. 참을 수 없다”고 질타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소속 의원들과 국조 특위 최병국 위원장은 “자신의 소신을 갖고 얘기하는 것 아니냐. 질의를 통해서 그 소신이 잘못된 것이라고 입증하면 되는 것 아니냐”고 특위 회의를 정회하는 데 대해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의사진행발언을 통해 여야 의원들간 고성이 계속 오가자 최 위원장은 “객관적 사실을 가림에 있어 주관적 발언을 하면 되느냐”고 민 전 정책관에게 주의를 준 뒤 정회를 선언했다.
정회 직후 한나라당 소속 특위 위원들은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민 전 정책관의 감정적 의견 표현이 과했다는 사과와 해명을 들으려 했지만 이를 거부하고 있는 민주당과 비교섭단체 의원들의 행동은 (기관보고를 통해) 더 이상 얻을 것이 없고, 오히려 쇠고기 협상이 노무현 정부 시절부터 이어져 온 협상과정의 일환으로 그 책임은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가 함께 져야 한다는 것을 한나라당 의원들이 조목조목 밝혀내자 보이콧 하는 것”이라고 힐난했다.
이들은 “국민들께 정확한 협상 과정과 쇠고기의 안전성을 알려 국민적 소모와 분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게 국회의원들의 책무인데 민주당 등 야권 의원들은 아무런 이유도 없이 회의를 보이콧하고 불참하고 있다”면서 “당장 돌아와 국조 원만히 이뤄지길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사철 의원은 민 전 정책관의 발언에 대해 “정부를 대표해서 협상을 타결했기 하지만 정부의 1급 공무원일 뿐이지 않느냐”면서 “회의를 중단할 만큼의 중대발언이라 생각지 않는다”고 말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