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자동차보험 양극화 심해진다…빅4 손보사만 '쌩쌩'


입력 2021.04.07 06:00 수정 2021.04.06 11:17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삼성·현대·DB·KB 점유율 84.7%…5년 새 5.5%P 확대

손해율 악화에 중·소형사 보험료↑…'디마케팅' 포석도

국내 4대 손해보험사 자동차보험 시장 점유율 추이.ⓒ데일리안 부광우 기자 국내 4대 손해보험사 자동차보험 시장 점유율 추이.ⓒ데일리안 부광우 기자

국내 자동차보험 시장에서 빅4 손해보험사가 차지하는 점유율이 지난해 85%에 육박하며 역대 최고 기록을 다시 쓴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손보사들이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자동차보험료를 올리기 시작하면서 양극화는 더욱 심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중·소형 손보사들이 손해를 줄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영업을 축소시키려는 이른바 디마케팅 전략에 나선 것이란 해석도 제기된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손헤보험업계의 자동차보험 원수보험료는 총 19조5510억원으로 전년 대비 11.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원수보험료는 보험사가 소비자와 계약을 체결하고 가입자로부터 받은 보험료 일체를 가리키는 말로 보험업계에서 시장의 크기를 측정할 때 활용되는 지표다.


조사 대상 기간 손보업계의 전체 자동차보험 원수보험료 중 삼성화재와 현대해상, DB손해보험, KB손해보험 등 상위 4개사가 차지한 비중은 82.3%에서 84.7%로 2.4%p 높아지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2016년까지만 해도 해당 비율이 79.2%로 80%를 밑돌았던 것과 비교하면, 5년 새 이들의 자동차보험 시장 점유율만 5%p 넘게 확대된 셈이다.


회사별로 4대 손보사들은 모두 업계 전체 추이를 웃도는 성장률을 찍으며 자동차보험 시장을 주도하는 모습이었다. 우선 삼성화재의 자동차보험 원수보험료는 5조7847억원으로 12.6% 늘며 선두를 유지했다. 이어 현대해상이 4조881억원, DB손보가 4조678억원으로 각각 14.7%와 16.0%씩 해당 금액이 증가하며 4조원을 넘어섰다. KB손보의 자동차보험 원수보험료도 2조6106억원으로 18.3%나 늘었다.


손보업계에서는 브랜드 파워와 규모의 경제를 앞세운 대형사들의 자동차보험 독식이 가속화하면서 중·소형 손보사들의 설 자리가 점점 사라져 가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매출 크기뿐 아니라 사업 효율성으로 봐도 대형 손보사들이 자동차보험에서 더 나은 성적을 거두면서 쏠림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지난해 4대 손보사들이 자동차보험 부문에서 기록한 손해율은 평균 85.0%로, 나머지 8개 손보사 평균인 97.4%에 비해 12.4%p나 낮았다. 손해율은 보험사가 거둬들인 보험료와 비교해 내준 보험금 등 손해액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이 수치가 낮을수록 보험사의 수익성이 좋다는 의미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중·소형 손보사들이 먼저 자동차보험료 인상 카드를 꺼내들고 있는 실정이다. 악화되는 손해율을 메꾸기 위해서는 보험료를 올려 받을 수밖에 없다는 논리다.


가장 먼저 총대를 멘 곳은 MG손해보험이다. MG손보는 지난 달 16일자로 개인용 자동차보험료를 평균 2.0% 올렸다. 지난해에도 관련 손해율이 107.7%로 세 자릿수 대를 지속하면서 현재의 보험료로는 더 이상 손실을 감당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롯데손해보험 역시 오는 10일부터 개인용 자동차보험료를 2.1%로 올릴 예정이고, 악사손해보험도 인상 검토에 들어간 상황이다. 롯데손보와 악사손보도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각각 90.9%와 90.8%로 높은 편이다.


손보업계에서는 이런 자동차보험료 조정이 단순히 손해율 때문만은 아니란 해석도 나온다. 대형사와의 경쟁에서 밀릴뿐더러 사업성 측면에서도 별로 기대할 바가 없다는 확신이 생기자, 자동차보험의 파이를 차츰 줄여나가기 위한 차원에서 빠르게 가격 인상을 가져가고 있다는 얘기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중·소형 손보사들이 인수 심사를 보다 까다롭게 하는 등 손해율 관리를 강화하면서 대형사로의 자동차보험 편중이 더 심화되는 양상"이라며 "수익성 면에서 부담이 커지는 자동차보험에 굳이 목을 맬 필요가 없다는 인식이 확산된 현실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