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車업계 "친환경차 정책, 과도한 쏠림 우려…내연기관·전기차 상생 필요"(종합)


입력 2020.05.19 13:44 수정 2020.05.19 13:44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편향된 정책은 차산업 위협…전 동력원 상생 필요

자동차공학회, 자동차 기술 및 정책 개발 발표회 개최

(왼쪽부터) 한국자동차공학회 자동차 기술 및 정책 개발 로드맵 연구위원회 김민수 교수(서울대학교), 황성호 교수(성균관대학교), 배충식 위원장(한국자동차공학회 부회장,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한국자동차공학회 강건용 회장, 박영일 교수(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기형 교수(한양대학교), 민경덕 교수(서울대학교)ⓒ한국자동차공학회 (왼쪽부터) 한국자동차공학회 자동차 기술 및 정책 개발 로드맵 연구위원회 김민수 교수(서울대학교), 황성호 교수(성균관대학교), 배충식 위원장(한국자동차공학회 부회장,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한국자동차공학회 강건용 회장, 박영일 교수(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기형 교수(한양대학교), 민경덕 교수(서울대학교)ⓒ한국자동차공학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한국 자동차산업이 세계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투자가 확대돼야 한다고 업계가 입을 모았다.


과도한 전기차 보조금 지급 정책 대신에 내연기관차와 전기동력차 혁신 기술이 함께 개발될 수 있도록 생태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국자동차공학회는 19일 오전 서울 페럼타워에서 '자동차 기술 및 정책 개발 로드맵 3단계 연구 발표회'를 열고 각 동력원별 기술 현황과 향후 전망 등을 소개했다.


김민수 서울대학교 교수는 수소전기차와 관련해 수소전기자동차 시장을 한국이 선도하기 위해서는 핵심부품 국산화와 충전소 인프라 확대가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소전기차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 반응에서 생긴 전기를 사용해 모터를 구동하는 방식으로 달린다. 이산화탄소 및 유해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미래 친환경적인 운송수단으로 꼽히나 관련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다.


김 교수는 "국내 수소전기차의 국산화 및 대중화를 위해서는 연료전지 스택, 운전장치, 수소저장, 신뢰성 향상, 경량화, 수소생산이 핵심 기술"이라며 관련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9일 오전 서울 중구에 위치한 페럼타워 3층 페럼홀에서 ‘미래자동차 기술 개발의 상생 전략 - 자동차 시장을 주도할 선제적 대응’을 주제로 개최한 한국자동차공학회 자동차 기술 및 정책 개발 로드맵 발표회에서 황성호 교수(성균관대학교)가 전기자동차 기술 분야 발표를 하고 있다.ⓒ한국자동차공학회 19일 오전 서울 중구에 위치한 페럼타워 3층 페럼홀에서 ‘미래자동차 기술 개발의 상생 전략 - 자동차 시장을 주도할 선제적 대응’을 주제로 개최한 한국자동차공학회 자동차 기술 및 정책 개발 로드맵 발표회에서 황성호 교수(성균관대학교)가 전기자동차 기술 분야 발표를 하고 있다.ⓒ한국자동차공학회

황성호 성균관대학교 교수는 전기차 기술과 관련해 구매보조금 지원이 폐지되더라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기차는 고전압 배터리에서 전기에너지를 전기모터로 공급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으로,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대표적인 무공해 차량으로 손꼽히지만 생산단가가 높은 것이 단점이다.


더욱이 한국을 비롯해 여러 국가에서 전기차 구매보조금 혜택 축소를 앞두고 있어, 배터리 생산성 향상을 통한 단가 저감이 중요한 과제로 지적된다.


그는 "우리나라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R&D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면서 "현재 국내 전기차 보조금 지급 실태를 파악하고 국내 자동차업체들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합리적인 지급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기형 한양대학교 교수는 내연기관자동차와 관련해 친환경차와의 경쟁상대가 아니라 동반성장해야 할 동력원으로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내연기관이 퇴출대상이라는 인식 때문에 중소 기업들의 은행 대출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므로 향후 10년 이상은 자동차의 주요 동력원을 담당할 것이라는 공감대 형성이 매우 시급한 과제"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더 늦기 전에 내연기관의 열효율 향상을 위한 정부차원의 R&D 연구와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추진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전문가들은 동력원별 기술 개발 및 혁신 성장을 위해서는 한쪽으로 치우친 정책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9일 오전 서울 중구에 위치한 페럼타워 3층 페럼홀에서 ‘미래자동차 기술 개발의 상생 전략 - 자동차 시장을 주도할 선제적 대응’을 주제로 개최한 한국자동차공학회 자동차 기술 및 정책 개발 로드맵 발표회에서 배충식 위원장(한국자동차공학회 부회장, 한국과학기술원 교수)이 로드맵의 배경 및 전망 발표를 하고 있다.ⓒ한국자동차공학회 유튜브 캡처 19일 오전 서울 중구에 위치한 페럼타워 3층 페럼홀에서 ‘미래자동차 기술 개발의 상생 전략 - 자동차 시장을 주도할 선제적 대응’을 주제로 개최한 한국자동차공학회 자동차 기술 및 정책 개발 로드맵 발표회에서 배충식 위원장(한국자동차공학회 부회장, 한국과학기술원 교수)이 로드맵의 배경 및 전망 발표를 하고 있다.ⓒ한국자동차공학회 유튜브 캡처

배충식 자동차기술정책위원장은 "정부와 기업차원에서 다양한 동력원 기술을 조화롭게 하면서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가 정책으로 제시하고 있는 친환경 자동차 보급 계획은 과도한 이산화탄소 저감 목표에 근거한 이상적인 환경만을 강조해 향후 자동차 시장에서 국내 자동차 산업의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경제적인 측면의 기업 구제 뿐 아니라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내연기관차, 하이브리드차, 배터리전기차, 수소전기차의 지속적인 R&D 지원과 효율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일방적인 규제를 통한 개선이 아닌 산업계와 환경의 상호보완적인 방향의 개선을 근간으로 하는 상생 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배 위원장은 "정부의 과도한 전기동력차 보급은 보조금 지급 등으로 경제적 부담은 크고 기술개발을 위한 실질 투자는 부족하다"면서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하는 실질적인 투자가 필요하고 내연기관차의 효율개선과 전기동력차의 핵심기술 개발을 중심으로 기술 개발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