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2016년 북한 경제성장률 추정 결과' 발표
북한의 지난해 실질 경제성장률이 3.9%로 17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북 제재 국면이 지속되는 가운데서도 북한의 실질 국내총생산(GDP)가 이전보다 크게 개선됐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은 21일 '2016년 북한 경제성장률 추정 결과'에서 지난해 북한 실질 GDP가 2015년보다 3.9% 상승했다고 밝혀다. 이는 1999년 6.1% 이후 17년 만에 기록한 최고치다.
한은에 따르면 북한의 실질 GDP 성장률은 지난 2008년 3.1%를 기록한 뒤 7년간 -1.1~1.3% 사이에 머물렀다. 그러다가 2015년에 저성장 이후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2015년에 발생한 가뭄 등의 요인은 소멸됐다.
산업별로는 광업이 석탄과 연, 아연, 광석 등의 생산이 늘면서 8.4%가 증가했고, 제조업은 중화학 공업을 중심으로 4.8%가 성장했다. 농림어업도 2.5%로 성장했고, 전기가스 수도업은 22.3%로 급성장하며 마이너스 성장률에서 벗어났다.
반면 건설업과 서비스업은 각각 1.2%, 0.6%로 성장률이 쪼그라들었다.
지난해 북한의 국민총소득(명목GNI)은 36조4000억원으로 우리나라(1639조1000억원)의 45분의 1 수준이다. 1인당 국민총소득도 146만1000원으로 우리나라(3198만4000원)의 22분의 1 규모에 그쳤다.
북한의 대외교역 규모는 65억5000만 달러로 전년도보다 4.7% 증가했다. 수출(28억2000만 달러)과 수입(37억3000만 달러)은 각각 4.6%, 4.8% 증가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