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대책 후 수도권 비규제지역 아파트 거래 22% 증가

임정희 기자 (1jh@dailian.co.kr)

입력 2025.11.10 14:11  수정 2025.11.10 14:11

서울 전역·경기 12 지역은 거래량 76% 감소

ⓒ뉴시스

10·15 대책 발표 이후 수도권에선 전반적인 주택 거래 감소 흐름이 나타났지만, 규제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일부 지역은 오히려 거래가 늘어나는 모습이다.


10일 직방에 따르면 10·15 대책 발표 후 20일간(10.16~11.4)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8716건으로 대책 전 20일(9.25~10.14)인 1만5412건 대비 약 4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 등 규제지역에서는 같은 기간 1만242건에서 2424건으로 거래가 76% 감소했다.


서울 영등포구와 성남시 수정구의 아파트 거래량이 이 기간 각각 95%, 93% 줄었고 서울 성동구도 91% 감소했다. 이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중원구 등이 각각 89%, 86% 줄었다.


대출규제 강화 등으로 실수요 매수 심리가 급격히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수도권 비규제지역의 경우 아파트 매매거래는 5170건에서 6292건으로 22% 증가했다. 대출 규제와 세제 부담이 덜한 지역을 중심으로 실수요자나 일부 관망세를 유지하던 수요층이 유입되며 비규제지역 거래량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된다.


비규제지역 중 거래량이 두드러지게 늘어난 곳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다. 수원시 권선구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대책 전 143건에서 247건으로 73% 증가했다. 수원시는 장안구, 팔달구, 영통구가 규제지역으로 묶였지만 권선구만 비규제지역으로 남았다.


화성시도 매매거래가 대책 전 561건에서 대책 후 890건으로 증가해 단일 지역 기준으로 가장 많은 매매거래량을 기록했다. 동탄 신도시가 갭투자가 가능한 지역으로 인식되며 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됐단 분석이다.


파주시의 거래량도 같은 기간 148건에서 209건으로 41% 증가했다. GTX-A 개통으로 서울 접근성이 개선되며 실수요 중심의 매매거래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구리시도 대책 전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133건이었으나 이후 187건으로 41% 늘었다. 이 밖에 군포시가 126건에서 169건으로 34% 늘었고, 부천시 원미구가 143건에서 179건으로 25% 증가했다. 규제지역 인접 및 교통 여건이 우수한 생활권 중심으로 거래가 늘었난 셈이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실 랩장은 “규제 영향권에 포함된 지역에서는 매수 심리가 위축되며 거래가 급감한 반면, 규제 적용을 받지 않는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거래가 유지되거나 늘어나는 모습”이라며 “정책 여파가 지역별로 엇갈리면서 시장은 당분간 규제와 자금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조정 국면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의 추가 조치가 이어질 가능성도 남아 있는 만큼 단기적으로 거래 위축과 수요 이동이 공존하는 혼조세 지속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임정희 기자 (1j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