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단독] 기업은행, 불어난 정책대출에도 부실 억제 '두 토끼' 잡았다


입력 2023.10.13 06:00 수정 2023.10.13 08:22        고정삼 기자 (jsk@dailian.co.kr)

NPL 비율 5년 평균 수준 유지

상·매각 규모 해마다 감소세

김성태 IBK기업은행장. ⓒIBK기업은행

IBK기업은행이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정책자금대출 공급을 해마다 크게 늘려왔음에도 관련 대출에서 불거진 부실 규모는 5년 전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은행의 체계적인 여신 심사·관리 프로세스가 빛을 발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고금리에 경기 침체 상황 속 기업들의 경영 여건이 악화한 가운데 기업은행이 중소기업 지원과 건전성 관리라는 두 토끼를 모두 잡으며 국책은행으로써의 위상을 공고히 하는 모습이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이 중소기업에 내준 정책대출에서 발생한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올 상반기 말 기준 1350억원으로 집계됐다. 관련 대출에서 고정이하여신이 차지하는 비중은 0.75%를 기록했다.


은행들은 대출채권 상태를 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로 구분한다. 이중 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을 묶은 고정이하여신은 3개월 이상 연체된 금액으로, 통상 금융사의 부실채권을 가늠하는 잣대로 쓰인다.


기업은행은 기술력과 사업성이 우수한 중소기업의 성장 촉진을 위해 장기·저금리로 자금을 공급하는 정책대출 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여기에서 발생한 부실채권의 최근 5년간 추이를 살펴보면 ▲2018년 말 1177억원(0.89%) ▲2019년 말 1354억원(0.93%) ▲2020년 말 1265억원(0.81%) ▲2021년 말 855억원(0.48%) ▲2022년 말 1138억원(0.60%) 등으로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다.


주목할만한 부분은 기업은행이 그동안 정책대출을 크게 늘려왔음에도 건전성 지표는 개선세를 나타냈다는 점이다. 실제 기업은행이 최근 5년간 취급한 정책대출 추이를 보면 ▲2018년 13조2635억원 ▲2019년 14조5874억원 ▲2020년 15조5906억원 ▲2021년 17조6730억원 ▲2022년 18조8940억원 등으로 해마다 1~2조원가량 공급을 늘렸다. 특히 올해 들어 6개월간 실행한 정책대출만 18조391억원으로 이미 지난해 전체 공급액의 96%에 달한다.


이 같은 상황에서 기업은행이 정책대출 부실채권을 손실 처리한 규모도 꾸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은 분기마다 부실채권을 상·매각해 건전성을 관리하는데, 정책대출에서 발생한 부실 규모가 크지 않아 손실 처리를 확대할 필요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 기업은행의 관련 부실채권 상·매각 규모를 살펴보면 ▲2018년 말 1131억원 ▲2019년 말 986억원 ▲2020년 말 935억원 ▲2021년 말 912억원 ▲2022년 말 401억원 ▲올 상반기 말 220억원 등으로 해마다 감소했다.


특히 정책대출이 기업의 이익 창출력보다 기술·사업성을 더 높이 평가해 실행된다는 점에서 이 같은 성과는 더욱 고무적이다. 이는 세밀하게 설계된 여신 심사 프로세스와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앞으로도 기업은행은 김성태 행장의 전략 방향 중 하나인 중소기업 지원체계 고도화에 따른 시장 안전판 역할을 적극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중소기업 대출을 크게 늘려온 기업은행의 건전성 우려를 제기하고 있지만, 부실 관리 역량을 입증하며 이를 불식하는 모습이다.


김 행장은 취임 당시 "튼튼한 은행을 만들기 위해 정책금융 본연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면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위기 극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중소기업을 통한 경제의 미래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정부 정책에 적극 부응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고정삼 기자 (js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