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국내 마리나산업이 요원한 이유 [이소희의 언팩]


입력 2022.07.04 07:00 수정 2022.07.04 05:51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해양레저 수요는 꾸준히 증가세

마리나산업, 여전히 10년째 답보

안전·인식·공간활용문제 전환 필요

바야흐로 여름 휴가철이다. 산과 바다를 떠올리며 어디로 어떻게 떠날지를 고민하는 시기다.


코로나19 펜데믹으로 그간 억눌렸던 관광 의지가 살아나고 국제선 월 여객 인원이 100만 명을 넘어섰다는 보도도 나온다.


정부가 해외여행 수요 증가에 맞춰 국제선 운항을 전면 정상화했고 항공사들도 수요에 맞춰 국제선 투입량을 늘리고 있다.


국내 관광업계도 기지개를 켜고 있다. 최근 한국관광공사가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관광유형은 기존 대규모, 실내 위주에서 소규모·개별·야외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때문에 바다 관광의 한 축이라고도 볼 수 있는 해양레저관광산업도 수요가 날로 늘고 있다. 하지만 관련 관광 인프라는 답보상태에 머무르고 있는 게 현실이다.


특히 해변의 종합관광 시설이라 불리는 마리나 항만과 마리나 산업은 한때 블루오션으로 인식되며 중장기·단기 청사진만 여러 차례 내놨으나 해양사고와 코로나19 등의 암초를 만나 제때 전진하지 못했다.


부산 앞바다 질주하는 요트들 ⓒ뉴시스 부산 앞바다 질주하는 요트들 ⓒ뉴시스

바다를 관장하고 있는 해양수산부도 2003년 해양레저 활성화 차원에서 각종 정책들을 발표한 이후 2013년 마리나항만 개발을 본격화하겠다고 선언했지만 세월호 사고로 접근 자체가 위축됐다.


해수부는 2017년까지 6곳의 거점형 마리나를 우선 개발하고, 2019년까지 마리나 계류 규모를 6000척으로 확충한다는 계획도 세웠었다. ‘동북아 마리나 허브 실현’을 비전으로 마리나산업을 통한 고용창출 효과와 그에 따른 경제적인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다.


당시 총 8000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 목표를 세워놓고, 이를 통해 약 1조원 규모의 부가가치가 창출할 것으로 내다보기도 했다.


위축된 상황 속에서도 그간 조금씩은 마리나 개발이 추진되고 국제보트쇼와 각종 국제대회 등을 통해 해양레저산업의 발전을 도모해왔지만 아직까지는 걸음마 단계다.


안전사고로 인한 부정적인 이미지 해소와 요트 등 해양레저를 상위계층의 전유물처럼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마리나 산업의 성패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해수부는 해양레저관광 산업 활성화 정책을 통해 레저산업의 기초체력을 높이고 선진국형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목표를 다시 세웠다. 대형 마리나와 크루즈 접안시설에 대형 쇼핑몰과 기타 관광시설이 결합한 복합 해양레저관광도시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7~8월에는 부산과 포항에서 국제해양레저위크를, 9월에는 제주도에서 해양레저박람회를 열고, 최근 늘어난 서핑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오는 10월 서핑대회도 신규 개최키로 했다.


여행의 다변화와 일상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지만 해양레저산업 활성화는 정책과 제도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해양문화에 대한 접근성 확보와 친수공간 조성에 달려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또한 해양공간에 대한 이용자들의 갈등 해소도 관건이다. 바다라는 공공재를 두고 삶의 공간인 어업과 자연과 휴식·관광을 공유하는 새로운 해법도 중요한 문제로 떠올랐다.


정부가 지자체 중심으로 한 해양공간계획을 마련해 최적의 활용방안을 규정하고는 있지만 전략적이고 통합적인 정책수립에는 못미친다는 평가다.


최근 비어업인의 무분별한 ‘해루질(갯벌이나 얕은 바다에서 조개 등 어패류를 잡는 일)’로 인해 어업인과 갈등을 빚는 사례도 등장해, 조속한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해양레저산업은 수요에 따라 더디지만 조금씩 성장하고 있다. 해양문화 소비자가 될 미래세대들의 관심과 교육, 친수공간 확충에 따른 콘텐츠 개발,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도 이번계획 추진에는 좀 더 전략적 접근이 가능해지길 기대한다.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소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