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포스코에서 두나무까지…검사출신 임원 전성시대


입력 2022.07.01 13:58 수정 2022.07.02 07:17        임채현 기자 (hyun0796@dailian.co.kr)

법률 총괄 책임자 혹은 사외이사로...'법률 리스크' 방지 목적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는 모습.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는 모습.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뉴시스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고 검사 출신들이 주요 요직에 대거 배치된 가운데 기업 역시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검사 출신 법조인들의 기업행이 어제오늘 일은 아니나 검사 출신 대통령 탄생과 맞물려 해당 현상이 더욱 눈길을 끄는 시점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는 검사 출신 A씨를 자사 최고법률책임자(CLO)로 영입한다. 최고법률책임자는 임원급 인사다. 통상 회사의 법률 문제를 총괄하는 자리다.


해당 인사는 지난해 초 법무부 정책기획단 검사로 활동하며 박범계 전 법무부장관을 보좌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두나무는 A씨가 박 전 장관 정책보좌관으로 근무할 당시에도 영입을 시도했으나 이해 충돌 소지가 있어 영입 작업을 중단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다 최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이하 공직자윤리위)가 퇴직 검사의 두나무 최고법률책임자 취업이 가능하다고 판단 내리면서 두나무 측은 다시 영입 시도에 나섰다. 최근 루나 폭락 사태로 가상자산 관련 법률 대응 필요성이 커진 것이 가장 큰 이유로 보인다.


최근 들어 기업의 검사 영입은 또 있었다. 앞서 4월 말 윤석열 대통령과 사시 및 연수원 동기인 김영종 변호사가 포스코홀딩스 법무팀장(부사장)으로 이적한 바 있다. 2003년 노무현 정부 시절 '검사와의 대화'로 유명해진 김 변호사는 서울중앙지검, 대검찰청 범죄정보기획관 등을 지내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2017년 변호사로 개업했다.


반드시 법무 관련 임원이 아니더라도 기업 사회이사로의 진출도 늘어나는 추세다.


롯데푸드는 지난 3월 주총에서 송찬엽 전 서울동부지검장을 사외이사에 재선임했다. 그는 2013년 원세훈 전 국정원장 수사에서 대검 공안부장으로 당시 윤석열 수사팀장과 호흡을 맞춘 바 있다.


삼성카드 역시 3월 주총에서 김준규 전 검찰총장을 신임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김 전 총장은 지난 2009년 취임 총장 직후 대구지검 부장검사였던 윤 대통령을 대검 범죄정보담당관에 발탁한 인물이다.


이를 두고 기업들이 윤 대통령과 조금이라도 가까운 정계 핵심부에 소위 줄을 대 경영 안정화를 꾀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지만, 업계 관계자들은 그보다는 '법률 리스크 방지'가 주된 목적이라는 설명이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검사출신 법조인들의 기업행에 대해 "검사출신 영입을 통해 특혜를 바란다는건 있을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자칫 더 큰 리스크를 가져올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해당 관계자는 "다만 검사출신은 고위공직자나 기관장의 시각을 잘 이해하고 규제에 대한 대응논리를 세우는 감각이 탁월한 부분이 있어 꾸준히 기업의 영입 1순위가 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또다른 관계자 역시 "정권도 바뀐 마당에 전 정권 장관 보좌 인력을 영입해 무슨 특혜를 바라겠느냐"면서도 "다만 소위 말하는 전관 끗발 역시도 '법률 리스크 방지'에 다 포함된 개념아니겠느냐. 법률 리스크란 여러가지 범위를 내포한다"고 말했다.

임채현 기자 (hyun0796@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