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아작 리포트①] 설경구 배우님, 하필 이 작품을 왜 선택했…


입력 2022.05.25 21:35 수정 2022.05.26 14:43        홍종선 대중문화전문기자 (dunastar@dailian.co.kr), 류지윤 기자

[아쉬운 작품 리포트] 영화 ‘야차’

콘텐츠 홍수 시대다. 특히 드라마와 영화는 그 어느 시대보다 많은 숫자가 대중과 만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콘텐츠가 호평 받진 않는다. 제작진과 배우들의 땀과 별개로 대중들의 평가는 냉정하다. 관객을 끌어들이지 못하기도 하고, 낮은 평점을 받기도 한다. 그 가운데 아쉬운 작품들이 존재한다. 연출이, 연기가, 편집이, 음악이 칭찬할 부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뭔가 아쉬운 작품들. ‘아쉬운 작품 리포트’(아작 리포트)에서 그 아쉬움을 달래보려 한다. 이야기를 나누는 기자들의 사심은 어쩔 수 없다. (편집자 주)


ⓒ

유명준 : 홍 선배, ‘야차’를 추천(?)한 이유가?


홍종선 : 설경구가 백상예술대상 남우주연상을 탔죠. 그거 아니어도 설 배우는 관객의 마음을 자기 쪽으로 끌어당길 줄 아는 배우예요. 그런 설경구 배우인 만큼 저는 그의 작품 선택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그가 연기한 지강인이 말해요. “정의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어떻게든 지켜내야 하는” 거라고. 저는 거기서 타노스를 봤어요. 과연 결과와 목적이 좋으면 무슨 수단이든 써도 되든가.


유명준 :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잘못된 방식으로 전달했다고 생각하신 거예요?


홍종선 : 요즘 사적 복수도 많아지고, 자기감정만 중요하게 생각해 생기는 비극적 사건이 많아요. 저는 강인의 대사가 자칫 그러한 판단과 선택에 합리화의 근거를 주는 건 아닌가 생각했어요. 적어도 설 배우, 무서운 설득력의 설경구는 이런 무서운 말을 내뱉으면 안 된다는 거죠. ‘킹메이커’에서 설경구는 수단의 정당성을 중시해서 킹메이커 이선균을 내쳤죠. 내치고도 대통령이 됐고. 그런데 이번엔 정반대의 역을 맡았어요. 박해수가 연기한 한지훈마저 처음엔, 정의는 정의롭게 지켜야 한다는 원칙을 버리고 지강인에 경도되어 정의의 정의와 지켜내는 방법을 끝부분에 수정했고요. 저는 다른 콘텐츠에서도 자주 쓰이던 그 말이 이번엔 스치는 대사가 아니라 주제어처럼 쓰였다는 점, 그것이 설경구라는 배우의 입을 통해 나온 것에 주목했어요. 위험하다. ‘킹메이커’가 아니라 ‘킹’이 백상 남우주연상을 받은 것은 두 팔을 들어 환영해요. 설경구 배우는 또 하나의 인생 최고 연기를 보여줬지요. 하지만 그의 ‘야차’ 연기는 출연부터 반대하고픈 마음이에요.


류지윤 : 그 맥락에서 ‘킹메이커’에서는 목적을 이루는데 수단이 정당해야 한다고 말해왔던 것과는 대비되는 그런 작품을 연이어 봤네요.


유명준 : “정의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어떻게든 지켜야 한다”라는 말은 사실 영화나 드라마에서 종종 사용되었던 말이고, 사람들도 무의식중에 당연하다 생각하는 듯 싶어요. 전 사실 그 말의 의미보다는 그러한 말이 너무나 뻔하게 나오게 한 연출이나 흐름이 별로였거든요. 하지만 다행인지 불행인지 ‘야차’ 자체가 그다지 매력적이지 못해서, 그 대사 자체의 힘, 그리고 그 대사가 주는 의미가 사람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었는지는 의문인데요. 영화의 상업성이나 재미 등을 보면 너무 뻔하고 너무 흥미 떨어지는 전개였거든요.


류지윤 : 예. 저도 10분 쯤 보고 정말 이걸 어떻게 계속 보나.


홍종선 : 그렇다면 다행이에요. 타노스조차 잘못된 방식에 대한 참회를 극 내에서 하는데 ‘야차’에서 지강인의 그러한 사고는 추앙을 받는 게 무서웠어요. 새로운 것에 계속해서 도전하는 배우 설경구의 젊은 연기철학에 존의를 표하지만 막중한 힘(연기력과 영향력)을 생각해 작품을 잘 택해 주면 좋겠어요.


ⓒ

류지윤 : 선배의 말씀이 무슨 의미인지 너무 와 닿았어요. 지강인의 방식이 결국 맞았다 하고 결말을 내버리니까.


홍종선 : ‘야차’의 엉성한 매무새와 재미없음에 대한 화가 설 배우에게 몰아졌어요. 그만큼 믿고 보는 대단한 배우여서 그렇지요. 두 분은 어찌 보셨나요?


유명준 : 전 앞서도 이야기했지만 전혀 흥미롭지 않은 이야기 전개였죠. 그래서 오히려 선배가 설 배우의 대사에 너무 무게감을 얹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


류지윤 : 저는 너무 힘만 들어가고 첩보영화 클리셰들 범벅. 반전도 뻔하고.


유명준 : 여러 평가들을 보니 ‘연출도 별로이고, 이야기도 별로인데 배우들은 자기 몫을 했다’라고 쓰던데. 사실 배우들이 연기를 못하면 더 이상할 정도의 연출과 이야기죠. 이런 류의 이야기는 수없이 많이 쏟아졌고, 배우들이 각자 자신들의 어떤 연기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델들은 널리고 널렸죠. 누굴 데려다 놓았어도 기본 이상을 할 배역들. 영화가 설경구를 통해 위와 같은 메시지를 던진 것조차 진부하고 확 끌리지 않는 느낌이 든 것도 너무나도 익숙한 장명과 흐름 그리고 역할과 연기들이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홍종선 : 맞아요. 배우들 잘했어요. ^^ 잘해서 더 위험하다고 느꼈나 봐요. “정의는 정의롭게 지켜야 한다고? 너의 정의는 고작 그거냐? 나의 정의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지켜야 하는 정의다!!” 호통을 치는데 너무 무서움. ^^ 독재자의 자기변명이 따로 없음. 극이 너무 뻔해서 내가 주제 문장에 더 집중했나 봐요.


류지윤 : 저는 연기도, 연출도 너~어무 감흥이 없어가지고.


홍종선 : 유 부장은 너무 뻔해서 주제마저도 전달력 없다고 본 거죠?


유명준 : 그렇죠. 어떤 주제가 있다는 것조차 느끼기 어려운 흐름이라고 봤죠. 저 영화가 만약 극장에서 개봉했다면 성적이 어땠을까요?


홍종선 : 음 100만 이하는 예약인데. 몇 명이나 봐주셨을까요.


류지윤 : 극장에서 개봉했으면 더 혹평을 듣지 않았을까요. 넷플릭스에서도 이렇게 시간이 아깝게 느껴지는데. 스킵하고 1.5배속 하면서 본 사람 많던데요.


ⓒ

유명준 : 박해수가 설경구에게 총을 쏘고, 다시 비장미 넘치는 모습으로 등장하고. 여기서 웃었어요. 그런데 어떻게 주제를 고민할 시간이. ^^


홍종선 : 그렇네. ^^::


유명준 : 난 ‘경관의 피’(68만명) 정도 관객수 생각을. 조진웅도 나름 정의 실현을 위해서 자기 멋대로였으니. ^^


류지윤 : 그러고 보니 그런 주제를 가진 이야기들이 꽤 나왔네요.


홍종선 : 제가 이 주제에 민감한가 보네요.


유명준 : 주제보다는 설경구라는 배우가 맡았다는 것에 민감하신 ^^. 역으로 보면 그 주제가 설경구 배우를 통해 나왔고, 그것이 많은 사람들이 ‘위험하다’ 혹은 ‘이래도 되나’라고 생각했다면 아쉬운 작품이라기보다는 흥행작에 가깝겠죠.


홍종선 : 빙고! 그런가 보네요. ‘우리 설 배우가 왜 여기 야차에 있어!!’. 애정을 줄여야겠다^^;. 여담인데 백상을 현장 가서 봤어요. 설경구 배우 뒷모습 보고 유지태인 줄 알았을 정도로 체격 너무 좋고. 얼굴 클로즈업 잡히는데 시계가 거꾸로 가는 외모.


유명준 : 전 그런 주제들을 느끼기 어렵고 지윤이 말대로 첩보영화 클리셰들이 범벅이 되어 ‘이거 뭐지?’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에 아쉬운 작품이라는 생각이 든거죠. ^^ 그리고 너무 뻔히 읽히는 영화는 더 이상 관객들이 찾지 않는데, ‘야차’가 그래요. 박해수가 중국으로 가는 순간 어떻게 진행될지 눈에 보이더라고요.


홍종선 : 그건 정말 ‘망작의 정석’. 업그레이드되지 않은 클리셰는 보는 사람이 더 민망한. 음.


ⓒ

류지윤 : 정말 힘만 잔뜩. 전 이수경 배우를 참 좋아하는데, 그 캐릭터도 애정을 가지고 봐도 붕괴.


홍종선 : 이수경 배우도 백상 조연상 받았네요. 좋은 배우 다 있네. 진경 배우(염경원 역)의 반전도 이미 읽힘. 글고 지강인이든 한지훈이든 왜 죄다 파워풀 맨은 깡패 느낌인 건지.


유명준 : ‘본 시리즈’ 보면 맷 데이먼은 파워풀 하지만 뭔가 엘리트 느낌도 나는데.


홍종선 : 그니까요. 인물도 스토리도 연출도 입체적이지 못한 결과.


유명준 : 사실 설 배우가 지금은 그래도 깔끔하게 나오지만 과거에는 음. 하다못해 검사 역을 해도 건달 느낌이 나던 분이라.


홍종선 : 왜에 그때는 그런 느낌의 검사가 신선하고 매력 있었다구.


유명준 : ^^ 신선. 강동구 강동서 강철중이 어울리죠.


홍종선 : 최고의 캐릭터. 형사 연기의 교본.

홍종선 기자 (dunastar@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