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1900조 육박 가계부채 ·치솟는 금리...‘영끌족’부터 직격탄


입력 2022.02.22 12:57 수정 2022.02.22 12:59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역대급 가계빚 1862조...GDP 비중 91%

취약층 중심으로 채무불이행 위험성↑

서울 중구 NH농협은행 본점의 대출상담 창구 모습. ⓒ 뉴시스 서울 중구 NH농협은행 본점의 대출상담 창구 모습. ⓒ 뉴시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와 금리상승에도 지난해 가계부채가 1860조원을 넘어서며 사상최대치를 기록했다. 국내총생산(GDP)대비 가계부채 비중도 90%를 초과하며 한국 경제에 경고등이 켜졌다. 가처분대비 가계부채 비중도 급증하는 가운데, 시장금리까지 뛰면 서민들의 이자상환부담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22일 한국은행의 4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862조1000억원으로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권과 비은행권에서 받은 대출(가계대출)과 결제 전 카드사용금액(판매신용)을 합한 금액이다.


가계신용 증가폭은 134조1000억원으로 전년(127조3000억원)대비 확대됐다. 증가 폭은최대 기록인 2016년(139조4000억원)에 이어 두 번째다. 가계신용 증가세는 4분기 금융당국의 대출 옥죄이기 등으로 둔화됐지만, 상반기 증가폭이 늘어난 까닭에 전체 규모는 확대됐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가계신용은 1~3분기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늘어났다”며 “주택담보대출은 주택 전세자금 수요가 지속된 가운데 매매수요도 꾸준히 지속됐고, 기타대출은 주택 및 투자자자금 수요가 상반기 이어졌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가계신용 중 가계대출은 1755조80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23조8000억원이 증가했다. 판매신용은 106조3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10조4000억원이 늘어났다. 증가폭은 역대 최대 수준이다.코로나19 여파 속에서도 4분기 거리두기가 완화로 서비스 수요 및 재화에 대한 소비가 크게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GDP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3분기 기준 91.2%를 기록했다. 4분기 기준 명목 GDP수치가 집계가 안된 까닭에 한은은 1년간 명목 GDP(2021조8000억원)와 3분기 말 가계신용(1843조원)을 바탕으로 추산했다. 104.2%에 달했던 지난해 6월보다 감소했지만, 60~80%인 미국, 프랑스, 일본 등과 비교하면 가계부채 비중은 심각한 수준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해인 2017년 말과 비교하면 가계부채(1450조9000억원)는 500조원 가까이 늘어났으며, GDP비중도 3.9%p 확대됐다. 가계부채 총량을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수 5188만2000만명으로 나눈 국민 1인당 가계빚은 3593만원 수준이다.



가계신용 잔액 추이 그래프 ⓒ 뉴시스 가계신용 잔액 추이 그래프 ⓒ 뉴시스

문제는 금리인상기에 접어들어든 상황에서 급증한 가계부채가 신용불량자를 양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가계부채는 지난해 4분기부터 증가세가 둔화됐지만, 시장금리 상승으로 신용대출금리는 7% 주담대는 6%에 육박했다. 여기에 한은은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올해 최소 2번의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시장은 한은이 올해 기준금리를 현 1.5%에서 1.75~2.0%까지 올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금리가 1%p 오를 때 가계의 이자 부담은 연간 총 18조4000억원, 자영업자는 연 8조9000억원 불어난다. 무리하게 주택을 구입하거나 가상자산 또는 주식에 빛내서 투자한 ‘빚투족’ ‘영끌족’들은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 청년층이나 노약층 등 취약계층 역시 생활고는 물론 이자상환 부담까지 이중고에 처할 수 있다.


금리상승 압력은 더욱 커지고 있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더욱 커지는 가운데, 가계부채와 별개로 당정이 국채로 추가경정예산(추경)까지 편성하며 금리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가계부채 증가폭이 둔화세를 보이고 있지만, 금리인상기에 접어든 시점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이뤄진다면 원리금상환부담 상승으로 인한 가계부채부실화 위험이 현실화될 수 있다”며 “상환리스크를 분산시킬 수 있는 세심한 대책도 살펴봐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