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소비성향 구조적 변화…고령화로 인해 회복 제한"


입력 2020.02.24 12:00 수정 2020.02.24 11:02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인구 고령화 등에 따라 소비성향이 과거 수준으로 회복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뉴시스 인구 고령화 등에 따라 소비성향이 과거 수준으로 회복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뉴시스

국내 소비성향 추이에 2012년을 전후로 상당한 구조적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인구 고령화 등에 따라 소비성향이 과거 수준으로 회복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24일 한국은행 조사국의 김대용 차장·서정원 조사역은 한은 조사통계월보에 수록한 '최근 소비성향 변동요인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2000년대 들어 일정 수준을 유지하던 소비성향이 2012년을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하락하다가 2015년 이후 소폭 반등했는데, 이는 단기간 하락한 후 바로 회복되었던 2003년과 차별화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2012년 이후 소비성향은 가계소득과 역행하며 소비 평탄화 경향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설명이다.


최근의 소비성향 하락을 가구별로 보면 50대 이상 가구와 고소득층 가구에 의해 주도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 목적별로 보면 의식주 관련 필수지출 항목이 주요인이었다는 해석이다.


또 보고서는 50대 이상 가구의 미래 기대소득 변동이 2012년 이후 전체 소비성향 변동을 비교적 잘 설명하고 있다고 봤다. 우리나라는 급속한 인구 고령화를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후 소득원이 안정적이지 않아 50대 이상 가구의 미래소득에 대한 불안감이 소비성향 하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을 것이란 추정이다. 다만, 보고서는 정부의 사회보장정책 강화로 2010년대 중반 이후 고령층의 생활여건과 소득만족도가 개선되면서 소비성향의 급격한 하락세는 다소 완화됐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최근의 소비성향 변동은 인구 고령화 등으로 2000년대 초중반 수준까지 복귀하기에는 상당한 제약이 따를 것으로 판단했다. 더불어 가구주의 연령대가 높아지고 소득수준이 낮아질수록 대체로 자산효과는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고령화가 진전될수록 부의효과는 약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향후 정책 추진 시 미래 소득에 대한 급격한 기대변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고, 부의 효과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변화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