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文대통령은 왜 '전세기'라고 말하지 못했을까


입력 2020.02.01 05:00 수정 2020.02.01 18:32        이충재 기자 (cj5128@empal.com)

"中이 전세기 명칭 기피한다"고 하자 즉각 연설문에 반영

"눈치보다가 홀대당한 우한폐렴 사태" 우려와 비판 커져

문재인 대통령(자료사진)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자료사진) ⓒ뉴시스

"임시항공편을 투입해 중국 우한에 남아있는 국민 대부분을 모시고 귀국할 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다."


정부의 공식 브리핑에서 '전세기'라는 표현이 사라졌다. 외교부 신속대응팀을 비롯한 정부 공식 발언은 모두 '임시 항공편'으로 대체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발원지인 우한에 있는 국민을 데려오기 위해 정부가 별도 항공편을 마련했지만, 이를 '전세기'라고 부르지 못하는 상황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전세기'라고 말 못하긴 마찬가지였다. 지난 30일 감염증 대책 종합점검회의에서 "우한에 고립된 우리 교민 700여명의 귀국이 시작돼 임시 항공편에 탑승한다"고 말했다.


'전세기'라고 부르지 못하는 文정부…왜일까?


그렇다면 정부는 왜 전세기라는 표현을 쓰지 못하는 것일까. 정부 관계자를 비롯한 여권인사들의 설명을 종합하면 '중국 눈치보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나온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외교부 통해서 내용을 파악했는데 '전세기'라는 명칭을 중국에서 상당히 기피하는 것 같다"며 "전세기를 타고 한꺼번에 출국하는 모습이 '탈출러시'같아서 중국이 부담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여권 관계자는 "중국 당국에서 전세기 보다는 임시항공편이라는 식으로 명칭을 써주길 요구했다"고 말했다.


코로나 사태에 투영된 '중국 눈치보기 외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을 둘러싼 각종 논란에는 정부의 중국을 향한 '눈치보기 외교'문제가 투영됐다.


청와대가 이례적으로 이번 감염증을 '우한 폐렴'이 아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라고 불러달라고 요청한 것도 비슷하다.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와 별개로, 발원지 주변국에 사태의 심각성을 환기하기 위해 지역 명칭을 넣는 것이 상식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미 뉴욕타임즈를 비롯한 주요외신에서도 지역을 표기하고 있다.


더욱이 문재인 정부는 지난해 가을 전세계를 휩쓴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을 공식 명칭으로 사용했다. 과거 박근혜 정부에서도 '메르스(ME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혹은 '중동 호흡기 증후군'으로 불렀지만, 특별한 문제제기는 없었다.


500만달러 지원하고도..."눈치보다 홀대당해"


아울러 정부가 중국에 500만 달러 상당의 긴급 지원을 하기로 결정한 것을 두고도 뒷말이 나왔다. 이미 우한행 전세기 편을 통해 마스크 200만개와 방호복·보호경 각 10만개 등 물품을 중국에 전달한데 이어 추가지원까지 이뤄졌기 때문이다.


이 역시 우리 정부의 자발적 지원이 아닌 중국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다. 외교부 당국자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의 전화통화에서 중국의 인도적 지원 요청이 있었다"고 밝혔다.


정작 정부는 중국과 협의과정에서 전세기 편수와 입출국 시각, 탑승자에 유증상자를 포함시킬 것인지 여부 등을 두고 중국측에 일방적으로 끌려다니는 모습을 보여 "눈치보다가 홀대당한 사태"라는 지적을 받았다.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1
이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1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 글쎄 2020.02.01  08:10
    병x, 매번 똘xx 노릇만 하고, X주고 뺨맞고.... 이러니 국민들을 전부 병신 만들지... 하루 빨리 그만두어라.
    중국 사람들도 이번 사태를 "武漢肺炎"이라고 쓰고 있어. 한심한 정부.....
    0
    0
1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