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금융안정보고서] 60대 이상 고령층 가계 빚 '꿈틀'


입력 2019.12.26 11:00 수정 2019.12.24 13:58        부광우 기자

규제 강화된 2017년 이후에도 9.9% 증가세 지속

"잠재 리스크 대응 위한 지속적 정책 대응 필요"

규제 강화된 2017년 이후에도 9.9% 증가세 지속
"잠재 리스크 대응 위한 지속적 정책 대응 필요"


우리나라의 가계 빚이 최근 들어 다소 진정 국면에 접어들고 있지만, 고령층의 부채는 여전히 증가세가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뉴시스 우리나라의 가계 빚이 최근 들어 다소 진정 국면에 접어들고 있지만, 고령층의 부채는 여전히 증가세가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뉴시스

우리나라의 가계 빚이 최근 들어 다소 진정 국면에 접어들고 있지만, 고령층의 부채는 여전히 증가세가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당장 문제가 될 만큼 우려할 수준은 아니지만, 본격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진단이다.

한국은행은 26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2017년 이후 규제 강화 등으로 모든 연령층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됐지만, 60대 이상은 비교적 높은 9.9%의 증가세를 지속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60대 이상 대출 비중은 2014년 이후 연평균 0.5%포인트 상승하면서 올해 3분기 말 18.1%에 달했다.

차주 1인당 대출금액은 모든 연령층에서 증가한 가운데 60대 이상은 7900만원으로 30대 이하에 비해서는 높고, 주된 경제활동계층인 40~50대보다는 다소 낮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대출 분포를 보면 60대 이상의 고소득·고신용자 대출 비중은 각각 47.2%, 70.1%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60대 이상은 비은행대출이 53.6%로 절반을 넘었고, 대부분(84.7%)이 담보대출을 받고 있었다.

보고서는 이 같은 고령층의 가계부채 누증 요인으로 우선 차주의 고령화를 꼽았다.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고연령층 진입이 본격화되면서 60대에 신규 편입되는 차주의 대출규모가 확대됐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노후소득 확보를 위한 차입수요가 늘어난 점도 이를 부채질했다고 풀이했다. 기대수명 연장 등으로 노후준비 필요성이 커진 상황에서 임대부동산 투자 및 자영업 진출 등을 위한 차입수요가 지속됐다는 해석이다.

실제로 부동산임대가구 보유 금융부채 중 60대 이상의 점유비중은 2013년 19.7%에서 2018년 27.4%로 상승했다. 자영업자 보유 가계대출 중 60대 이상 비중도 2012년 말 16.0%에서 올해 3분기 말 21.7%로 올랐다.

다만 보고서는 고령층의 가계부채가 빠르게 증가해 왔지만 이들 연령층의 전반적인 재무여력은 상대적으로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60대 이상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총자산 대비 총부채 비율은 22.8%로 여전히 30대 이하(31.8%)나 40대(28.3%), 50대(24.3%)에 비해 낮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이들 고령층은 소득 측면에서의 레버리지가 높고 금융자산에 의한 채무대응능력이 떨어지는 데다 최근 건전성 저하 조짐이 일부 나타나고 있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진단이다.

60대 이상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212.6%로 다른 연령층(164.4~189.8%)에 비해 높았다. 또 실물자산 편중으로 인해 60대 이상의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105.9%)이 100%를 초과하는 등 금융자산에 의한 채무대응능력 취약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보고서는 "고령층 가계부채가 인구고령화 등으로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총자산 규모, 연체율 수준 등을 감안할 때 현재로서는 시스템 리스크 측면에서 크게 우려할 정도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면서도 "잠재 리스크에 대응해 지속적인 정책적 대응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