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한경연 "경기불황의 그늘, 골목 깊숙이 침투 중"


입력 2019.10.27 11:00 수정 2019.10.27 10:55        이홍석 기자

골목상권 경기전망 조사...매출‧순익 올해 이어 내년도 두 자릿수 급락

업종별로는 인테리어·의류판매·학원 등의 순으로 부진 전망

골목상권 경기 악화 원인.ⓒ한국경제연구원 골목상권 경기 악화 원인.ⓒ한국경제연구원
골목상권 경기전망 조사...매출‧순익 올해 이어 내년도 두 자릿수 급락
업종별로는 인테리어·의류판매·학원 등의 순으로 부진 전망


경기불황의 그늘이 골목상권에 깊숙이 침투 중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경기활성화를 통한 내수촉진과 함께 유통‧상권 환경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은 19개 주요 골목상권 업종에 대한 경기전망을 조사한 결과, 올해는 물론 내년에도 두 자리 수대의 급격한 매출 및 순수익 감소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다고 27일 밝혔다.

인테리어업 등 골목상권 19개 업종의 평균 매출 증감률은 2019년 -13.7%, 2020년 -15.8%로 전망됐으며 평균 순수익 증감률은 2019년 -17%, 2020년 -17.2%로 조사됐다.

유환익 한경연 상무는 “2년 연속 두 자리 수 실적감소가 현실화될 경우, 상당수 영세소상공인의 도산이 우려된다”며 “경기활성화를 위한 특단의 정책수단을 강구하고 최저임금 동결 등 골목상권의 부담요인을 제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대비 올해 매출액 증가가 예상되는 업종은 4개로 제과(15%)·편의점(9%)·화훼(5%)·택배(5%) 등이다.

제과업은 다양한 종류의 빵과 과자 등장에 따른 소비자 선택권 확대, 편의점업은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소포장 상품 증가, 화훼업은 김영란법에 따른 과도한 매출 위축 이후의 기저효과, 택배업은 온라인쇼핑 증가에 따른 물류확대 등으로 업황 개선이 예상된다.

올해 매출액 감소가 예상되는 업종은 12개로 ▲인테리어(-45%) ▲의류판매·학원·이용사(-35%) ▲목욕·한의원·산업용재(-25%) 등이다.

인테리어업종은 최근 주택경기 둔화에 따른 경기악화, 의류판매업과 이용업은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감소, 학원업은 온라인 시장 활성화 및 학령인구 감소 등이 업황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와 비슷한 매출실적이 전망되는 업종은 보일러·주유소·인쇄업이다.

내년에는 올해보다 매출증가 업종 수는 줄어들고 감소 업종 수는 늘어날 전망이다. 매출증가 업종은 2019년 제과·편의점·화훼·택배 등 4개에서 2020년 편의점·제과 2개로 줄어들고 감소 업종은 2019년 인테리어·의류판매·학원·이용업 등 12개에서 2020년 주유소업이 신규로 추가되면서 13개 업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경기악화(매출 또는 순수익 감소)를 예상한 15개 업종 대부분은 경기호전 시기를 가늠하기 어려운 것으로 조사됐다. 15개 업종 중 11개 업종(73.3%)이 경기호전 시기 전망이 아예 ‘불투명’하다고 응답했다. 그 외 향후 1~2년 내(1개 업종, 6.7%), 2~3년 내(2개 업종, 13.3%), 3년 이후(1개 업종, 6.7%)에 경영호전이 전망된다는 응답이 있었다.

휴폐업 전망에 대해서도 작년 보다 올해 골목상권 관련 점포 휴폐업이 평균 4% 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업종별로는 의류판매업(17.5%), 외식산업‧문구‧이용사(12.5%), 미용사‧인테리어‧주유소(7.5%) 업종 등이 작년 보다 올해 휴폐업이 상당 폭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대비 올해 경영악화를 예상한 골목상권 협회들은 그 원인으로 ‘경기위축에 따른 판매부진’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서 최저임금의 급격한 상승, 동일업종 소상공인 간 경쟁심화, 제품 원료‧재료비 상승 등이 원인으로 제시됐다.

경영활성화를 위한 대책으로는 ‘경기활성화를 통한 내수촉진’이 가장 많이 제시됐으며 이어서 유통‧상권 환경개선, 최저임금 동결, 세제지원 등도 골목경기 활성화 대책으로 제시됐다.
골목상권 경기 활성화 대책.ⓒ한국경제연구원 골목상권 경기 활성화 대책.ⓒ한국경제연구원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