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무역도 디지털 시대…조달-통관-물류-결제 등 수출 전과정 디지털화 착수


입력 2019.10.14 10:00 수정 2019.10.14 09:58        배군득 기자

산업부, 오는 2021년까지 u-TH 2.0 시스템 완료…시간·비용 90% 절감 기대

디지털신용보증서비스 도입 및 온라인 무역보험·보증서비스 출시

수출자금 대출용 보증 심사 16일에서 3일로 대폭 단축

산업부, 오는 2021년까지 u-TH 2.0 시스템 완료…시간·비용 90% 절감 기대
디지털신용보증서비스 도입 및 온라인 무역보험·보증서비스 출시
수출자금 대출용 보증 심사 16일에서 3일로 대폭 단축


디지털 무역 촉진 방안 ⓒ산업통상자원부 디지털 무역 촉진 방안 ⓒ산업통상자원부

오는 2021년부터 조달-통관-물류-결제 등 수출 전과정이 디지털시스템으로 운영된다. 정부는 수출에 소요되는 과정이 디지털화되면 시간과 비용이 90% 이상 절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제4차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블록체인,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혁신기술을 이용해 무역업체 거래비용을 절감하고 전자상거래 수출을 촉진하기 위한 ‘디지털 무역 기반구축 방안’을 확정했다.

산업부는 오는 2021년까지 uTH(u-Trade Hub) 2.0으로 불리는 디지털 무역 기반이 구축될 경우 조달부터 계약, 통관, 결제에 이르는 무역거래 모든 과정이 디지털화된다.

무역정보도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해 무역업체가 원하는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함으로써 수출신고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 90% 이상을 절감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대책은 3대 전략 및 7대 과제로 추진된다.

◆수출시스템에 녹아든 빅데이터, AI, 블록체인

기업들에게 수출, 해외투자, 프로젝트 수주 등 해외진출정보를 단일 포털(single window)로 제공하기 위해 ‘대외경제 통합정보센터’를 구축(2020~2021년)해 여러 부처와 공공기관에 분산된 해외 진출정보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중남미 진출을 희망하는 화장품 기업 A사는 해외 시장(코트라), 화장품허가(보건산업원), 콘텐츠 마케팅(콘텐츠진흥원) 정보를 각 공공기관에 일일이 접속해서 찾아야 했지만, 향후 대외경제 통합정보센터에 접속하면 모든 정보를 한 번에 찾을 수 있게 된다.

또 수출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신규 시장에 도전하도록 유망시장 추천, 시장별 특화정보 등을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중기 맞춤형 통계(무역통계진흥원)’와 ‘My Trade 서비스(무역협회)’를 제공한다.

무역금융 디지털화도 촉진된다. 오는 12월에는 기업들의 외국환 거래 편의를 위해 외국환은행, 유관단체(무역협회, 은행연합회), KTNET 등이 협력해 블록체인 기반 외국환 거래 증빙 서비스를 개시해 증빙서류 제출절차를 간소화한다.

현재는 송금방식(O/A, open account) 수출채권을 수출기업이 외국환은행에 매입 신청시 온라인(14%)과 오프라인(86%)을 병행하고 있다. 내년 7월부터는 온라인매입만 가능하게 돼 수출채권 매입은행간 중복매입이나 초과매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기존 17종 서류 제출과 수기 작성이 필요했던 무역보험공사 수출신용보증 서비스를 온라인화 하는 중소기업 전용 ‘디지털 수출 신용보증 서비스’를 도입하고, 온라인 무역보험‧보증을 위한 온라인 전용 상품을 개발해 3無(무방문·무서류·무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3대 추진전략 7대 정책과제 ⓒ산업통상자원부 3대 추진전략 7대 정책과제 ⓒ산업통상자원부

◆디지털 무역 플랫폼 ‘u-TH 2.0’…디지털 무역선도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혁신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무역 플랫폼(u-Trade Hub:uTH 2.0)’을 3년간(2019~2021) 구축해 기업의 조달 → 계약 → 통관 → 물류 수출 전 과정에 걸쳐 거래지원 서비스를 개선한다.

이 시스템이 구축되면 기존에는 관세사, 운송사에게 통관정보(상업송장, 포장명세서)를 수작업으로 전달하던 절차를 별다른 작업 없이 바로 통관정보를 유관기관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 기업 영업비밀을 제외한 무역거래 데이터 처리‧분석‧활용 등을 허용하기 위해 관련 규정을 정비하고, 관세청 기업별 정보도 수출지원기관과 공유할 수 있도록 무역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리나라 디지털 무역 플랫폼 글로벌 확산과 표준 선점에도 집중한다. 신남방‧신북방 지역 중심으로 디지털 무역 플랫폼을 수출하고 정부간 협력 MOU, 컨설팅, 설명회 등을 추진해 추가수요를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소재·부품 등 기업간 전자상거래 수출 확대

세계적으로 급성장 중인 전자상거래 무역에 대응해 기업간 전자상거래를 지원하고 전자상거래 수출 촉진 인프라를 확충한다.

소재·부품·장비 기업, 세계 일류상품 수출, 소비재 선도기업 등 수출을 촉진하기 위해 바이코리아(KOTRA 온라인 수출 지원 플랫폼) 내 소재·부품·장비 전용관을 내년 상반기에 구축해 해외수요처 발굴을 지원한다.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B2B 플랫폼을 ▲산업(소재·부품·장비 중심) ▲기업(중소·수출초보기업) ▲시장(중국 등 유망시장) 중심으로 차별화 하고 데이터 공유 등 3대 테마별 플랫폼간 연계를 위한 협력에 나선다.

또 업종별·테마별 전문몰을 선정해 경쟁력 있는 글로벌 쇼핑몰로 성장하도록 마케팅을 지원(70개사 40억원)한다. 내년에는 인플루언서 등을 활용하고 한류와 결합한 글로벌 전문몰 후보기업도 지원할 방침이다.

한편 다음달 예정된 ‘코리아 세일 페스타’ 기간 중 해외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우리기업 제품 프로모션과 마케팅을 할 예정이다.

이밖에 소량·다품종 위주 전자상거래 특성을 고려해 간이신고와 목록제출로 이원화된 전자상거래 수출신고를 전용 신고서식으로 일원화한다.

전자상거래 물류 허브 구축에는 ‘글로벌 전자상거래 물류센터(GDC)’를 유치하고(관세청), 대중국 직구 수출물류 대상 통관·보관·검사·배송 등 전자상거래 수출 전용 복합 물류인프라를 구축(해수부)한다.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최근 세계적으로 블록체인·빅데이터 등 혁신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무역이 성장하고 있다”며 “이번 대책은 세계 디지털 무역 시장을 선도하고 온라인 수출 지원 기반을 고도화하는 데 역점을 뒀다”고 말했다.

정 차관은 이어 “정부‧무역유관기관 무역정보와 수출지원서비스 통합‧제공, 편리한 무역업무 처리, B2B 전자상거래 촉진 등 수출기업이 현장에서 요청하고 있는 사항을 반영하고자 노력했다”며 “앞으로 새롭게 구축되는 디지털 무역을 바탕으로 우리 기업들이 불확실한 무역환경을 극복해 나갈 수 있도록 범부처적 지원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