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D의 공포 현실로②] 생활물가 오르는데 저성장?…소비자 체감도 낮은 이유는


입력 2019.10.05 06:00 수정 2019.10.05 05:41        최승근 기자

잇따른 태풍과 돼지열병 사태 등으로 생활물가 상승 우려

밥상물가 좌우하는 가공식품, 통계 상 가중치 비중 적어 반영도 낮아

잇따른 태풍과 돼지열병 사태 등으로 생활물가 상승 우려
밥상물가 좌우하는 가공식품, 통계 상 가중치 비중 적어 반영도 낮아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0.4% 하락하면서 디플레이션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다수의 소비자들은 생활물가는 매년 오르고 있다며 쉽게 수긍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자료사진)ⓒ연합뉴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0.4% 하락하면서 디플레이션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다수의 소비자들은 생활물가는 매년 오르고 있다며 쉽게 수긍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자료사진)ⓒ연합뉴스

디플레이션 우려가 자영업자들에게 공포로 다가오고 있다. 올 초부터 0%대를 유지하던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달 첫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외식업 등 자영업자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특히 장기간 저성장 영향으로 대출을 통해 연명하고 있는 자영업자들의 경우 대출 연체와 폐업을 반복하면서 새로운 창업 기회마저 박탈당하는 등 심각한 상황이다. 반면 소비자들은 상승하는 외식물가로 인해 디플레이션 체감도가 낮다는 반응이다. 외식업의 경우 원재료 외에도 인건비, 임대료 등 고정비 비중이 높다보니 통계와의 괴리가 큰 탓이다. 디플레이션 우려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자영업자들이 처한 상황과 소비자들의 체감도가 낮은 이유에 대해 두 편에 걸쳐 살펴봤다.[편집자주]

“소비자물가지수는 사상 첫 마이너스를 기록했다는데 장바구니 물가는 내려온 적이 없습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0.4% 하락하면서 디플레이션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다수의 소비자들은 생활물가는 매년 오르고 있다며 쉽게 수긍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잇따른 태풍과 돼지열병 사태 등으로 채소와 육류 가격 상승 우려까지 더해지면서 정부 통계에 비해 물가 하락을 체감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소비자들이 느끼는 물가와 정부 통계 간 괴리의 원인은 가격구조와 통계 산정 방식 때문이다.

최근 2년간 약 30% 상승한 최저임금과 주52시간 근무제 도입 등 여파로 식품 및 외식업계는 올 초부터 일제히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한국 대표 술인 소주와 생수를 비롯해 과자, 빵, 아이스크림, 두부 등 주요 가공식품 가격이 인상됐다. 인건비 비중이 높은 외식업계도 가격 인상을 단행해 치킨은 2만원 시대를 열었고 냉면, 자장면, 삼겹살, 김치찌개, 김밥 등 주요 서민 외식 메뉴 가격도 대부분 올랐다.

밥상물가는 매년 오르고 있다는 소비자들의 지적은 사실인 셈이다. 하지만 이 같은 생필품 대부분의 통계 가중치는 다른 품목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다. 품목이 포함되는 범위가 서로 다르다 보니 단순 비교는 무리가 있지만, 가중치가 높다는 것은 해당 품목 가격이 인상됐을 때 가계의 소비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더 크다는 의미다.

통계청이 물가 통계에 사용하는 계산 방식을 보면 금액이 클수록 가중치가 높아지는 구조다. 금액이 큰 전셋값이나 휴대전화 요금 등에 비해 치킨, 자장면, 삼겹살 등은 가중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예를 들어 과일‧가공식품‧육류 등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가중치는 137.6인 반면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 가중치는 165.9로 더 높다.

통계청이 지난달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 보고서에서도 집값, 교육 등 서비스 분야 가중치는 551.5로 유류, 가구 등 공업제품(333.1)이나 농축수산물(77.1)에 비해 가중치 비중이 월등히 높았다.

매년 반복되는 가격 인상에도 국내 식품업계 수익성은 감소하는 추세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스탠다드앤푸어스(S&P) 캐피탈 IQ’에 등록된 식품기업 9444개사를 전수 조사한 결과, 한국 식품기업들의 매출액영업이익률은 4.5%로 조사대상 국가 중 25위를 차지했다. 이는 OECD 국가 평균 영업이익률(9.7%)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외식물가는 원재료 가격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이유도 있다. 음식을 만드는 쌀, 채소, 육류의 가격이 하락해도 음식값이 떨어지지 않는 이유와 비슷하다.

외식업의 경우 원재료 가격에 비해 인건비, 임대료 등 고정비 비중이 높다보니 물가는 하락해도 음식값이 오르는 현상을 쉽게 볼 수 있다. 지난달의 경우 지난해 9월과 비교해 농축수산물 가격이 0.7%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통계와 소비자들의 체감도가 다르다 보니 식품‧외식업계에서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가격 인상 요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하락하고 있다는 소비자들의 인식 때문에 반발이 더 크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외식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몇 년 사이 최저임금이 크게 오르고 임대료 등 고정비 지출이 상승하면서 가격 인상 요인이 있다”면서도 “저성장 저물가 시대라는 통계가 많다보니 가격을 올렸을 때 소비자들의 반발이 더 커질까 우려가 크다”고 전했다.

이어 “치킨이나 소주 같은 가공식품 가격이 오를 경우 소비자들의 반발이 크다보니 정부도 물가 인상 시기에는 이들 물가부터 잡으려고 한다”며 “물가가 오르면 오르는대로 내리면 내리는대로 고충이 있다”고 덧붙였다.

최승근 기자 (csk348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