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다시 불붙는 ‘탈원전 반대’…노조‧지역 한 목소리


입력 2019.09.25 06:00 수정 2019.09.25 05:52        조재학 기자

원전산업계 노조 ‘원자력노동조합연대’ 결성

고용불안 대책‧에너지정책 공론화 등 요구

울진군,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 촉구

“탈원전 대단히 불안하고 위험한 정책”

원전산업계 노조 ‘원자력노동조합연대’ 결성
고용불안 대책‧에너지정책 공론화 등 요구
울진군,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 촉구
“탈원전 대단히 불안하고 위험한 정책”


원자력노동조합연대 구성원들이 24일 오후 청와대 분수광장 앞에서 열린 ‘창립 기자회견’에서 ‘일방적인 탈원전 정책 즉각 중단하라’, ‘신한울 3·4호기 건설 즉각 재개하라’, ‘탈탄소 기후변화 원전이 희망이다’ 등 구호를 외치고 있다.ⓒ데일리안 원자력노동조합연대 구성원들이 24일 오후 청와대 분수광장 앞에서 열린 ‘창립 기자회견’에서 ‘일방적인 탈원전 정책 즉각 중단하라’, ‘신한울 3·4호기 건설 즉각 재개하라’, ‘탈탄소 기후변화 원전이 희망이다’ 등 구호를 외치고 있다.ⓒ데일리안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다시 거세질 전망이다. 고사 위기에 직면한 원전산업 종사자들이 ‘대정부 투쟁’을 선언하면서 ‘탈원전 반대 및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 범국민서명운동’ 이후 주춤했던 탈원전 반대 운동이 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원전산업계 노동조합이 연대한 ‘원자력노동조합연대(원노련)’은 전날 청와대 분수광장 앞에서 창립 기자회견을 열고, 에너지정책에 대한 공론화를 정부에 요구했다. 원노련은 한국수력원자력노조, 한전기술노조, 한국원자력연구원노조, 한전원자력연료노조, 코센노조, LHE노조 등으로 구성됐다.

문재인 정부는 ▲신규 원전 건설 계획 백지화 ▲노후 원전 설계 수명 불허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등 탈원전 정책을 선언하고, 원자력에너지를 액화천연가스(LNG)와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에너지전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노희철 한수원 노조위원장은 “가스는 원자력에너지의 경제성을 따라올 수 없고, 재생에너지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없다”며 “가스와 재생에너지가 원자력에너지를 대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꼬집었다.

이어 “삼면이 바다이고, 에너지 공급 측면에서 ‘섬’과 다를 바 없는 우리나라에서 탈원전 정책은 대단히 불안하고 위험한 정책”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은 전기를 이웃국가와 사고팔 수 있는 유럽과 달리 주변국으로부터 분리된 일종의 ‘계통섬’이다.

원노련은 이날 정부에 ▲에너지정책 공론화 ▲원전산업 노동자의 고용불안 대책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 등을 요구했다.

하진수 한전기술 노조위원장은 “정부가 일방적으로 선언한 탈원전과 에너지전환 정책은 국가 경제와 국민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책”이라며 “수많은 고민과 치열한 토론을 거쳐야하고 국민적 공감대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또 “원자력산업이 붕괴되는 것은 지난 60년간 피땀으로 축적해온 기술력이 해체된다는 의미”라며 “한우물만 파며 원전 보조기기를 제작한 중소기업은 정부의 변심으로 파산위기에 몰렸으며, 대기업인 두산중공업도 순환휴직을 실시하는 등 노동자들의 고용은 불안정하다”고 지적했다.

하 위원장은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는 원자력산업을 유지하는 유일한 대책이라고 강조했다. 또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원전수출을 위해 기술력 유지가 필요하며, 그 교두보가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라는 게 하 위원장의 설명이다.

울진군 주민들이 지난 1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에서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주장하고 있다.ⓒ데일리안 울진군 주민들이 지난 1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에서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주장하고 있다.ⓒ데일리안

신한울 3‧4호기 건설 예정지인 경북 울진군도 정부를 상대로 강경 대응을 이어오고 있다.

현 정부의 신규 원전 건설 백지화에 따라 신한울 3‧4호기는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3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제외됐다. 현재 한수원 이사회 결정만 남은 상황이다.

한수원 이사회는 지난해 6월 천지원전 1‧2호기와 대진원전 1‧2호기의 건설사업을 종결했으나, 신한울 3‧4호기는 보류했다. 이미 두산중공업이 원자로 설비와 터빈발전기 등 주기기 제작에 약 5000억원을 투입해 사업종결에 따른 보상 등의 부담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와 한수원이 신한울 3‧4호기 건설여부를 차일피일 미루는 가운데 울진군은 울진군범군민대책위원회(울진군범대위)를 꾸리고, 지난해 9월 청와대 연무관 앞 광장에서 ‘울진군민총궐기대회’를 벌이는 등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를 정부에 촉구해왔다.

원전의존도가 높은 지역 경제 구조로 인해 신한울 3‧4호기 건설 계획 백지화 이후 큰 타격을 입고 있다는 게 울진군범대위의 설명이다.

울진군범대위는 국가기후환경회의가 출범하는 등 최근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점을 감안해 미세먼지를 배출하지 않는 원전의 강점을 강조한다는 방침이다.

원전산업의 메카로 통하는 창원시도 탈원전 정책에 반발하는 모양새다.

창원시에는 원자로, 증기발생기 등 원전 핵심기기를 제작하는 두산중공업을 비롯해 부품‧설비를 납품하는 원전 협력사들이 위치해있다.

허성무 창원시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두산중공업을 비롯한 협력업체들이 너무 어렵다”며 “좀 천천히 갔으면 좋겠다”고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에 속도조절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한편, ‘탈원전 반대 및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 범국민서명운동’에는 지난 24일 기준 온라인서명 26만7502명, 현장서명 28만1098명 총 54만8600명이 동참했다.

조재학 기자 (2j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재학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