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모집인 없애고, 점포 줄이고…’비용절감 특명’ 허리띠 졸라매는 카드사


입력 2019.09.25 06:00 수정 2019.09.25 05:50        배근미 기자

‘비용절감’ 비대면고객 유치 무게중심 이동…카드모집인 1만명 붕괴 ‘초읽기’

영업점포도 통폐합 움직임 속도…작년 말 261곳에서 6개월 새 63곳 문닫아

‘비용절감’ 비대면고객 유치 무게중심 이동…카드모집인 1만명 붕괴 ‘초읽기’
영업점포도 통폐합 움직임 속도…작년 말 261곳에서 6개월 새 63곳 문닫아


가맹점 수수료 인하 등의 여파로 수익 감소가 현실화된 카드사들이 비용절감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업황 악화에도 불구하고 실적 방어에 나서야 하는 상황에서 기존 대면영업 기반의 카드모집인력 비중을 낮추고 전국에 기반을 둔 영업점포 역시 통폐합하는 방식으로 허리띠 졸라매기에 나선 것이다.  ⓒ게티이미지뱅크 가맹점 수수료 인하 등의 여파로 수익 감소가 현실화된 카드사들이 비용절감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업황 악화에도 불구하고 실적 방어에 나서야 하는 상황에서 기존 대면영업 기반의 카드모집인력 비중을 낮추고 전국에 기반을 둔 영업점포 역시 통폐합하는 방식으로 허리띠 졸라매기에 나선 것이다. ⓒ게티이미지뱅크

가맹점 수수료 인하 등의 여파로 수익 감소가 현실화된 카드사들이 비용절감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업황 악화에도 불구하고 실적 방어에 나서야 하는 상황에서 기존 대면영업 기반의 카드모집인력 비중을 낮추고 전국에 기반을 둔 영업점포 역시 통폐합하는 방식으로 허리띠 졸라매기에 나선 것이다.

25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상반기 기준 국내 7개 전업계 카드사(신한·KB국민·삼성·현대·우리·롯데·하나)의 카드모집인 규모가 1만1766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6년 말 2만2872명이던 모집인 수가 2년 6개월여 만에 절반 가량 급감한 것이다. 당장 올 상반기에만 600여명의 모집인들이 카드업계를 떠났다.

한때 카드업권 활황과 카드사 간 경쟁 과열을 발판으로 5만명을 상회하던 카드모집인 규모는 카파라치제도 및 영업권역 제한 등 정부의 지속적인 규제와 비대면을 중심으로 한 금융시장 변화와 맞닥뜨리면서 어느덧 옛말이 됐다. 업권 안팎에서는 카드모집인들의 1만명 붕괴가 조만간 기정 사실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여기에 카드사들 역시 최근 1~2년 사이 전략적으로 카드모집인에 대한 고객 확보 의존도를 낮추고 있는 추세다. 통상 신용카드 한 장당 모집인에게 주어지는 수당은 약 10~15만원 수준이나 지난해부터 본격화된 카드 가맹점 수수료 인하 영향으로 이같은 대면채널에 대한 소요비용 역시 만만치 않은 부담이 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결국 카드사들의 무게중심 역시 카드모집인을 통하는 것보다 더 저렴한 비용으로 고객 유입을 기대할 수 있는 모바일 등 비대면채널에 힘을 싣고 있다. 실제로 현대카드의 경우 지난 6월부터 프리미엄 상품인 ‘레드카드’에 대한 모집인 판매를 중단하고 온라인 판매로 전환했다. 여기에 카드 수수료 개편에 따른 후속 조치로 카드모집인 관련 수당을 줄이면서 모집인들의 이탈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이에 카드사 영업점포의 통폐합 움직임 역시 한층 속도를 내고 있다. 해당 업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전국에 걸쳐 261곳이던 카드 영업점포가 올해 6월 198개로 63곳이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1년 전과 비교하면 감소폭은 더욱 두드러져 지난해 6월말 305곳에서 35% 가량 감소한 셈이다.

전국 각지에 위치한 카드사 영업점포는 해당 지역 가맹점들에 대한 마케팅 업무 및 관리와 함께 카드모집인들의 신규 카드발급 창구 역할을 담당해 왔다. 그러나 영업점 차원에서 관리해야 할 모집인 규모가 줄어든데다 해당 채널 관리가 비대면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점, 여기에 건물 임대료와 인건비, 관리비 등을 줄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지역 거점 지점으로 통폐합한 것이다.

한편 이같은 노력에 힘입어 올 상반기 카드사 실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p 감소하는수준에 그쳤다. 그러나 하반기 들어 가맹점 수수료 인하에 따른 순익 감소 영향이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신규 영세 가맹점에 대한 우대 수수료 소급 적용 등 실적 요인 악재가 산재해 있다는 측면에서 향후 더욱 쉽지 않은 과제가 될 전망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수수료 인하에 따른 피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인건비를 줄이고 영업점을 축소하는 등 허리띠를 바짝 졸라맸다”면서 “일단 당기순익 감소치를 한자리수로 막을 수 있었지만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는 만큼 앞으로가 문제”라고 밝혔다.

배근미 기자 (athena350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배근미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