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시중은행 대비 높은 금리에…저축은행 퇴직연금 고객 ’북적’


입력 2019.09.03 06:00 수정 2019.09.03 17:13        배근미 기자

기준·예금금리 인하…시중은행들 퇴직연금 수익률 여전히 '1%대'

'2%대 중후반' 저축은행 퇴직연금 고금리 메리트…고객 속속 유입

기준·예금금리 인하…시중은행들 퇴직연금 수익률 여전히 '1%대'
'2%대 중후반' 저축은행 퇴직연금 고금리 메리트…고객 속속 유입


기준금리 인하 등으로 이른바 ‘초저금리 시대’가 본격화된 가운데 2금융권인 저축은행 퇴직연금 상품에 금융소비자들이 몰리고 있다. 시중은행들의 퇴직연금 금리가 1%대로 예적금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사이 경쟁력 있는 금리구조를 앞세워 시장 파이를 넓혀가고 있는 것이다.ⓒ데일리안 기준금리 인하 등으로 이른바 ‘초저금리 시대’가 본격화된 가운데 2금융권인 저축은행 퇴직연금 상품에 금융소비자들이 몰리고 있다. 시중은행들의 퇴직연금 금리가 1%대로 예적금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사이 경쟁력 있는 금리구조를 앞세워 시장 파이를 넓혀가고 있는 것이다.ⓒ데일리안

기준금리 인하 등으로 이른바 ‘초저금리 시대’가 본격화된 가운데 2금융권인 저축은행 퇴직연금 상품에 금융소비자들이 몰리고 있다. 시중은행들의 퇴직연금 금리가 1%대로 예적금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사이 경쟁력 있는 금리구조를 앞세워 시장 파이를 넓혀가고 있는 것이다.

3일 은행연합회 등에 따르면 지난 6월 국내 5개 시중은행의 퇴직연금 확정기여형(DC) 단순 평균 1년 수익률은 1.66%를 기록했다. ‘개인형 퇴직연금(IRP)’ 1년 수익률의 경우 신한은행이 1.99%로 가장 높았고, 하나(1.62%), 국민(1.38%), 기업(1.32%), 농협(1.30%), 우리은행(1.29%)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소폭 상승한 수치이기는 하나 여전히 은행권 예적금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반면 저축은행들이 출시한 퇴직연금 상품은 시중은행보다 높은 2% 중후반대 금리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OK저축은행의 ‘퇴직연금정기예금’ DC/IRP형 상품의 경우 지난 1일 기준 2.5%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SBI저축은행 DC형 퇴직연금 상품 역시 2.5%(1년 기준), 한국투자저축은행 퇴직연금 금리의 경우 2.55%로, 한 달 전과 비교해 0.15%p 올랐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저축은행들의 퇴직연금 시장 파이 역시 날로 커지고 있다. 지난 8월 기준 저축은행업계 상위 5개사인 SBI·OK·한국투자·유진·페퍼저축은행의 퇴직연금 규모는 2조5000억원을 넘어섰다. OK저축은행과 SBI저축은행의 경우 상품 출시 1년도 채 되지 않아 취급 규모가 각각 6000억원을 돌파했고, 그 밖의 중대형저축은행들도 퇴직연금 고객 유치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퇴직연금 고객들이 이처럼 저축은행에 몰리는 데에는 무엇보다 금리 부문에서 가격경쟁력이 확보된 데 따른 측면이 크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지난 7월 기준금리를 인하한 것에 이어 한국은행 역시 같은 시기 금리 인하에 나섰다. 퇴직연금 고객 대부분 원리금보장상품에 몰려있는데 기준금리 인하에 수신금리가 낮아져 이러한 퇴직연금 상품 수익률도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여기에 그동안 퇴직연금 금리가 저조하다는 지적에 따라 은행권이 수익률 개선안 마련에 나서고 있으나 이역시 좀처럼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내년 예대율 규제 시행을 앞두고 있는 저축은행들은 시중은행과 같이 당장 기준금리 인하 기조에 동참하기 보다는높은 수신금리를 무기로 고객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예대율(예수금 대비 대출금 비중)은 금융회사 건전성을 관리하는 주요지표 중 하나로, 금융당국은 내년부터 저축은행 예대율 규제를 시작해 오는 2021년까지 예대율을 100% 이하로 유지하도록 점진적 규제 강화를 예고하고 있다.

다만 점차 낮아지고 있는 기준금리 기조 속에서 저축은행업권의 이같은 퇴직연금 수익율 유지가 언제까지 계속될지가 관건으로 꼽힌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저축은행 평균 예대율이 높은 만큼 비용 부담이 있더라도 저축은행들은 수신금리를 비교적 높게 해 예금잔액을 확보함으로써 예대율을 사전에 관리하자는 차원이 크다"면서 "그러나 자금이 한데 몰릴 경우 이를 운용할 곳이 마땅치 않아 안정적인 자금 운용을 위해 자금 유치 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고 말했다.

배근미 기자 (athena350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배근미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