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日, 韓 화이트리스트 제외 파장] 문재인정권이 내친 전경련, 한국당이 보듬다


입력 2019.08.04 03:00 수정 2019.08.04 06:34        정도원 기자

한국당 특위에 전경련 임원 배석…위원들 반색

"일본 재계의 동향 들으면 실질적인 논의될 것"

한국당 특위에 전경련 임원 배석…위원들 반색
"일본 재계의 동향 들으면 실질적인 논의될 것"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 정진석 일본수출규제대책특위 위원장 등이 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특위 긴급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 정진석 일본수출규제대책특위 위원장 등이 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특위 긴급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현 정권으로부터 노골적으로 배제당하고 있는 전경련을 자유한국당이 보듬고 나섰다. 격화되는 한일 무역분쟁 와중에 '재계 맏형' 전경련이 보유한 대일(對日) 네트워크를 국익에 적극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

한국당은 2일 일본 각의의 화이트리스트 제외 결정 직후 일본수출규제대책특위 긴급회의를 소집했다. 이 자리에는 황교안 대표·나경원 원내대표·정진석 특위 위원장 등 한국당 의원들 외에 엄치상 전경련 상무이사가 배석해 눈길을 끌었다.

이와 관련, 황 대표는 "전경련의 동향 보고를 토대로 하면 실질적인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반색했으며, 정 위원장은 "긴급회의로 소집된 오늘(2일) 회의는 엄치상 전경련 상무로부터 일본 재계의 동향 보고를 듣고 해법에 대해 토론을 하겠다"고 기대감을 표했다.

전경련의 日카운터파트 게이단련, 영향력 막강
"사무국 직원, '민료'라 불릴 정도…정책 좌우"


한국당이 이처럼 회의에 배석한 전경련의 '역할'에 기대감을 표한 것에는 이유가 있다. 전경련은 1961년 창설할 때부터 일본 게이단렌(経団連·경단련)을 모델로 했다. 그만큼 오랜 협력관계를 갖고 있으며, 1982년 한일 재계회의를 마련한 뒤 2007년까지 매해 개최했다.

2008년에 한일관계 악화로 회의가 일시 중단됐지만 2014년 허창수 회장의 도쿄 방문으로 회의가 재개됐다. 올해에는 11월에 일본에서 재계회의가 열릴 예정인데, 정부·국회 차원의 대화가 모두 끊어지다시피 한 국면에서 기대를 모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게이단렌의 일본에서의 위상 또한 예사로 볼 일이 아니다. '재계 맏형'인 우리의 전경련처럼 '재계의 총본산'이라는 애칭을 갖고 있는 게이단렌은 일본상의·경제동우회와 함께 일본의 경제3단체라 불리지만, 요미우리신문이 '재계 해부'에서 진단했듯이 "영향력은 게이단렌이 단연 눈에 띄게 큰 것"으로 알려졌다.

집권 자민당에 매해 20억 엔(약 225억 원) 이상의 정치헌금을 하면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국회 외통위 소속 한국당 의원실 관계자는 "게이단렌 사무국 직원은 관료에 대응해 '민료(民僚)'라 불릴 정도"라며 "우리의 정책위에 해당하는 자민당 정무조사회에 행사하는 영향력이 막강해 정책을 좌지우지한다"고 평가했다.

정권, 전경련 의도적 홀대…간담회도 초청 안해
"전경련 활용하지 않는 이유, 이해 못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 정권은 이같은 네트워크를 갖고 있는 전경련을 홀대하면서, 지금의 위기 국면에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일본이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를 단행한 지난달 1차 보복 조치 직후 청와대에서 열린 국내 30개 기업총수와 최고경영자(CEO)·경제단체가 참석한 재계 초청 간담회에도 전경련이 제외됐다.

현 정권은 경제단체와의 소통이 필요할 때 대신 대한상의를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대한상의와 일본의 카운터파트인 일본상의 회장단 만남이 당장 지난해도 취소됐을 정도로 교류가 깊지 않고, 일본 경제3단체 중 일본상의의 정치적 영향력도 크지 않은 관계로 현재 한일 무역분쟁 국면에서의 효용성은 거의 없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때문에 재계 뿐만 아니라 한국당에서도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키' 역할을 할 수 있는 전경련을 현 정권이 활용하지 않는 이유를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게이단렌, '1+1' 또는 '1+2' 해법의 열쇠 역할
명예회장 조카가 아베 총리 '복심' 맡고 있기도


한국당 일본수출규제대책특위 핵심관계자는 "전경련을 통해 게이단렌과 대화하면 많은 문제의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다"며, 현재 게이단렌 회장단의 구성을 그 예로 들었다.

나카니시 히로아키(中西宏明) 히타치제작소 회장이 게이단렌 회장을 맡고 있는데, 히타치제작소는 강제징용 배상판결에 휘말린 히타치조선의 대주주다. 미야나가 슌이치(宮永俊一) 미쓰비시중공업 사장은 게이단렌의 부회장이자 유력한 차기 회장 후보군 중 한 명인데, 미쓰비시중공업은 대법원의 배상 판결에 의해 자산이 압류된 현 사태의 핵심 연루 기업이다.

이마이 다카시(今井敬) 신일철주금 명예회장은 한일관계가 그 어느 때보다 양호해 '김대중·오부치 선언'이 이뤄졌던 1998년부터 2002년까지 게이단렌 회장을 지내고, 지금은 게이단렌 명예회장을 맡고 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복심(腹心)이라 불리는 이마이 다카야(今井尚哉) 정무비서관이 이마이 명예회장의 조카다. 또, 당장 신일철주금도 대법원 강제징용 판결로 국내 자산이 압류된 기업 중 하나이기도 하다.

핵심관계자는 "현 정권은 우리 대법원 판결을 이행하기 위해 우리 기업과 일본 기업이 공동출자하는 '1+1안', 또는 여기에 우리 정부도 일부 자금을 보태는 '1+2안'까지도 검토하는 것으로 아는데, 일본측 기업의 핵심 인사들이 모두 게이단렌에서 중추적 역할을 맡고 있다"며 "그 어떤 안을 타진하든 게이단렌의 OK 사인이 없으면 안 된다"고 분석했다.

이 관계자는 "야당도 알고 있는 이런 내용을 정권은 모르고 있는 것인지, 알면서도 이념·정체성 때문에 계속 전경련을 모른 체하는 것인지 궁금하다"며 "한국당은 특위 활동과 민관정 협의체를 통해 전경련·게이단렌 사이의 네트워크 활용을 계속해서 압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도원 기자 (united9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