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제조업 먹구름에 은행 대출 건전성 '이상기류'


입력 2019.07.18 06:00 수정 2019.07.18 05:52        부광우 기자

국내 주요 은행 제조업 대출 연체율 '악화일로'

무역 분쟁 심화에 320조 관련 여신 관리 '비상'

국내 주요 은행 제조업 대출 연체율 '악화일로'
무역 분쟁 심화에 320조 관련 여신 관리 '비상'


국내 6대 은행 제조업 대출 연체율 추이.ⓒ데일리안 부광우 기자 국내 6대 은행 제조업 대출 연체율 추이.ⓒ데일리안 부광우 기자

국내 주요 은행들의 제조업 대출 건전성이 올해 들어 일제히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미국과 중국 사이의 갈등에 더해 우리나라와 일본의 무역 분쟁까지 겹쳐지면서 제조업체들의 경영 여건이 더욱 나빠질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제조업에 드리운 먹구름이 더욱 짙어지는 가운데 320조원이 넘는 은행들의 관련 대출 관리에도 비상이 걸리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으로 신한·KB국민·우리·KEB하나·NH농협·IBK기업은행 등 국내 6대 은행들이 제조업체들에게 내준 대출의 연체율은 0.62%로 지난해 말(0.57%) 대비 0.05%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체율이 올랐다는 것은 그 만큼 대출 상환에 곤란을 느끼는 제조업체들이 많아졌다는 얘기다.

이 기간 거의 모든 은행들의 제조업 대출 연체율이 상승 곡선을 그렸다. 제일 상황이 좋지 않았던 농협은행의 제조업 대출 연체율은 같은 기간 1.07%에서 1.09%로 0.02%포인트 상승하며 조사 대상 은행들 중 유일하게 1%를 넘는 수치를 이어갔다.

이어 기업은행의 제조업 대출 연체율이 0.58%에서 0.09%포인트 오른 0.67%를 기록하며 높은 편이었다. 우리은행의 해당 연체율은 0.65%에서 0.61%로 0.04%포인트 떨어지며 홀로 하락세를 보였지만 기업은행 다음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밖에 신한은행의 제조업 대출 연체율은 0.43%에서 0.54%로 0.11%포인트 상승했다. 하나은행은 0.40%에서 0.47%로, 국민은행은 0.27%에서 0.33%로 각각 0.07%포인트와 0.06%포인트씩 제조업 대출 연체율이 올랐다.

이 같은 은행들의 제조업 대출 건전성 악화 흐름은 당분간 심화할 공산이 크다. 국내 제조업 경기가 지금보다 더욱 나빠질 것으로 보이는 탓이다.

실제로 최근 산업연구원이 국내 1050개 제조업체들을 상대로 실시한 조사한 결과, 올해 3분기 제조업 시황 전망은 90으로 전 분기(98)에 비해 8포인트 하락했다. 매출 전망 역시 같은 기간 102에서 96으로 6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제조업의 시황과 매출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는 의미다. BSI는 100을 기준으로 그 이상이면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는 예측이 더 우세하다는 것을 뜻하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가리킨다.

제조업체들이 경영에 난항을 호소하는 가장 큰 이유는 우리나라를 둘러싼 대외 여건이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데 있다. 금방 타협점을 찾을 것으로 기대했던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이 생각보다 길어지며 글로벌 무역량이 계속 둔화하고 있는데다, 여기에 일본이 원재료 수출 규제에 나서면서 우리 수출의 핵심인 반도체 산업까지 타격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제조업 불황이 장기화할 경우 이들에게 돈을 빌려준 은행들에게도 부실의 여파가 밀어닥칠 수 있다. 은행들이 제조업 대출 부실 관리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배경이다. 특히 은행들의 기업대출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절대적이라는 점은 부담을 키우는 대목이다.

국내 은행들이 보유한 제조업 대출은 올해 1분기 말 326조1216억원으로 전체 기업대출(871조3196억원)의 37.4%에 이르고 있다. 이어 비교적 파이가 큰 ▲부동산 및 임대업 20.8%(181조23억원) ▲도소매업 13.0%(113조5063억원) ▲숙박·음식업 4.4%(38조3700억원) 등의 점유율과 비교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세계 무역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수출에 기반을 둔 국내 제조업의 어려움이 깊어지고 있다"며 "제조업 대출에서 부실이 커지며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전이를 우려해야 하는 은행들로서는 향후 건전성 관리 강화에 나설 수밖에 없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