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격동의 상반기 부동산-4] 물량가뭄에 허덕이는 도시정비시장…건설사들 고삐 바짝


입력 2019.07.03 06:00 수정 2019.07.03 05:59        권이상 기자

지난해보다 사업지 8곳 줄었고, 사업비는 무려 3조원이 축소돼

상반기 현대건설 유일 1조원 클럽 진입, 포스코건설과 대림산업 뒤이어

지난해보다 사업지 8곳 줄었고, 사업비는 무려 3조원이 축소돼
상반기 현대건설 유일 1조원 클럽 진입, 포스코건설과 대림산업 뒤이어


정부의 규제 등 악재만 잇따르는  도시성비시장의 규모가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다. 서울 아파트 전경. ⓒ권이상 기자 정부의 규제 등 악재만 잇따르는 도시성비시장의 규모가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다. 서울 아파트 전경. ⓒ권이상 기자

정부의 규제가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에 촛점되면서 올 상반기 도시정비시장은 물량가뭄에 허덕였다.

특히 최근 고분양 관리에 일반분양에 대한 수익성 확보가 불확실해지면서 하반기 시장 전망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분위기가 이어지자 건설사들은 올해 목표실적 달성을 위해 상반기부터 고삐를 바짝 죄며 실적올리기에 급급한 모습이다.

실제 서울·수도권을 주무대로 삼던 대형사들마저 규모와 지역에 상관 없이 수주에 박차를 가했다. 그 결과 현대건설 등 일부 건설사는 상반기 내 올해 실적 목표를 채우기도 했다.

이와 반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수주실적이 반토막 수준에 머문 곳들이 대부분으로, 하반기 정비사업시장 대어를 낚으려는 노력은 지속되고 있다.

◆올해 '미니 재건축' 물량가뭄 속 틈새시장으로 부상

정부의 규제로 도시성비시장의 규모가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시공사를 선정한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지는 전국 총 46곳으로 집계됐다. 이들 공사비 규모(도급액 기준)는 총 7조6431억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전국 총 54곳(10조6437억원)과 비교하면 사업지는 8곳이 감소했고, 수주금액은 무려 3조원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지 수는 큰 차이가 없지만, 수주금액은 차이가 크다.

사업별로 보면 재건축 사업 18건, 재개발 16건, 가로주택정비사업 5건, 소규모 재건축 5건, 리모델링 사업 2건이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13곳으로 가장 많고, 뒤를 이어 경기도 10곳, 대구 7곳, 대전 4곳으로 조사됐다. 특히 올해의 경우 가로주택정비사업과 소규모 재건축 등 ‘미니 재건축’ 등 10곳이 시공사를 선정한 게 특징이다.

지난해만해도 미니 재건축 사업이 시공사를 선정한 사례는 단 한차례도 없었다.

업계 관계자는 “올 상반기의 경우 작년말부터 물량가뭄이 예고되며 건설사들이 소규모 정비사업 등 틈새찾기에 여념이 없었다”며 “정뷰의 규제로 예년만큼 치열한 경쟁은 하지 못하게 되자 물밑 작업이 더욱 거세졌다”고 전했다.

◆현대건설 목표실적 선달성, 코오롱글로벌 중견사 중 선두

건설사 가운데 극심한 물량가뭄을 가장 잘 이겨내고 잇는 곳은 현대건설로 나타났다. 현대건설은 올 상반기에만 총 6곳의 사업지에서 1조5562억원의 실적을 올렸다.

현대건설이 시공권을 낙점 받은 사업은 재건축 3곳, 재개발 2곳, 가로주택정비사업 1곳이다.

사업명으로 보면 ▲1월 경기도 과천 주암장군마을 재개발(2759억원) ▲3월 서울 대치동구마을3지구 재건축(1171억원) ▲3월 서울 등촌1구역 재건축(1242억원) ▲5월 대구 78태평상가아파트 가로주택정비사업(1090억원) ▲6월 경기도 평택 합정주공 재건축(3759억원)) ▲6월 인천 화수화평 재개발(5541억원) 등이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수주실적인 1조2575억원을 이미 앞지른 상황이고, 올해 목표 실적인 1조3000억원을 훨씬 뛰어넘는 실적을 달성했다.

2위는 포스코건설이 차지했다. 포스코건설은 올해 총 5곳에서 9937억원 규모의 시공권을 따냈다. 포스코건설의 올해 목표 실적은 1조6000억원으로, 절반 고지를 넘어서 의미가 크다.

이 회사는 1월 대구 중리지구 재건축(3168억원)을 시작으로, 4월에만 ▲제주 이도주공1단지 재건축(2300억원) ▲부산 부곡2구역 재개발(1405억원) ▲강원도 소양촉진2구역 재건축(1950억원) ▲서울 잠원훼미리아파트 리모델링(1114억원) 4개 공사를 연달아 수주해 업계 이목을 끌었다.

포스코건설의 뒤를 바짝 쫓고 있는 건설사는 대림산업이다. 대림산업은 올 상반기 총 4곳의 사업지에서 시공사로 낙점됐다.

4곳의 총 사업비 규모는 8860억원으로 ▲3월 인천 신촌 재개발(1715억원) ▲4월 서울 신당8구역 재개발(3083억원) ▲5월 서울 천호3구역 재건축(1205억원) ▲6월 대전 삼성4구역 재개발(2857억원)의 수주고를 채웠다.

대림산업은 지난해 도시정비사업 시장에서 1위를 달성한 저력이 강한 회사지만, 이 추세대로라면 올해 목표 실적인 2조5000억원 달성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4위는 GS건설로 올해 3곳의 시공권을 확보하면 총 7090억원의 수주고를 올렸다. GS건설은 ▲2월 서울 봉천4-1-3구역 재개발(2065억원) ▲3월 대전 대사동1구역 재개발(2276억원) ▲4월 부산 부곡2구역 재개발(2749억원) 등의 시공사로 선정됐다.

5위는 중견사인 코오롱글로벌이 당당하게 이름을 올렸다. 코오롱글로벌은 올해 4곳의 사업지에서 총 5321억원 규모의 실적을 달성했다. 사업지는 ▲5월 대구 반월당 행복마을 가로주택정비사업(673억원) ▲5월 칠성24지구 재건축(1643억원) ▲6월 인천 경동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2727억원) ▲6월 서울 마포구 우석연립 소규모 재건축(277억원) 등이다.

◆악재만 지속되는 정비사업시장, 지역별 차별화 전략 필요해

업계에서는 도시정비사업에 대한 규제를 풀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부동산 시장을 고려해 지역별로 차별화 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특히 최근 고분양가 관리에 나선 정부의 규제로 재개발·재건축은 직격탄을 맞았다. 정비사업은 특성상 주거개선과 함께 일반분양으로 수익을 내야 하는 사업으로, 일반분양가 산정에 제동이 걸리면 공사지연에 따른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밖에 없다.

이미 강남권 재건축 단지들은 정부의 분양가 통제에 맞서 잇따라 후분양으로 선회하면서 공급 위축에 따른 집값 상승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지난달 24일부터 서울 등 전국 고분양가 관리지역 분양가를 심사할 때 분양 아파트가 속한 자치구에 1년 이내 분양한 아파트가 있으면 100% 수준으로, 1년이 지났으면 비교 단지 분양가의 105%를 넘지 못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서울시의 경우 재건축 조합과의 강남 집값 상승 우려 등의 이유로 인허가 지연이 심화되고 있다. 실제 잠실주공5단지 조합은 이에 항의하는 집회를 예고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실시된 초과이익환수제와 함께 임대주택의무비율 상승 예고와 최근 적용된 고분양가 통제 등 정비사업시장에는 악재만 지속되고 있다”며 "물량가뭄으로 업계와 시장 모두 위축되며 시장에 양극화만 심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권이상 기자 (kwonsg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권이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