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보란듯이 등장한 김여정…김정은 '잔혹 독재자' 이미지 벗기?


입력 2019.06.04 15:00 수정 2019.06.04 16:03        이배운 기자

'정상국가 지도자' 이미지 구축 주력…부정적 여론 차단 나선듯

손용우 "남한 언론이 잘못 판단했다는 메시지 던져…불예측성 부각"

정성장 "김영철 등장, 노역설 불식시키려는 것으로 판단돼"

'정상국가 지도자' 이미지 구축 주력…부정적 여론 차단 나선듯
손용우 "남한 언론이 잘못 판단했다는 메시지 던져…불예측성 부각"
정성장 "김영철 등장, 노역설 불식시키려는 것으로 판단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김여정 노동당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 ⓒ한국공동사진기자단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김여정 노동당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 ⓒ한국공동사진기자단

지난 4월 최고인민회의 이후 50여일간 모습을 보이지 않던 김여정 북한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이 공식석상에 재등장했다.

김 부부장이 하노이 회담 결렬의 책임을 물어 '근신형'에 처했다는 국내 매체 보도가 나온지 닷새만으로, 북한 당국이 이에 대응해 여론전을 펼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북한 관영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은 4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전날 평양 5·1경기장에서 대잡단체조 '인민의 나라'를 관람했으며 김 부부장과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등이 동석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매체가 공개한 사진에는 관중들을 향해 손을 흔드는 김 위원장과 그로부터 왼쪽 두 번째 자리에서 박수를 치고 있는 김 부부장의 모습이 담겼다. 사진 오른쪽 끝부분에는 김영철 부위원장으로 추정되는 인물의 옆모습도 포착됐다.

김영철 부위원장은 앞서 '노역형에 처해졌다'는 보도가 나왔었지만, 지난 3일 김 위원장과 나란히 예술공연을 관람한 사실이 확인되면서 건재함을 과시했다.

전문가들은 하노이 회담 책임자들이 처벌을 받았다는 내용의 국내 언론보도에 대해 북한 당국이 '특별 대응'에 나섰을 개연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장은 "김 위원장이 지난 2일 예술공연 관람에 김영철을 동행시킨 것은 그의 악성종양 치료가 끝난 상태에서 '김영철 노역설'을 불식시키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3일 평양 5·1경기장에서 대잡단체조 '인민의 나라'를 관람하고 관중들에게 손을 흔드는 가운데,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사진 왼쪽 원)과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으로 추정되는 인물(사진 오른쪽 원)이 보인다. ⓒ조선중앙통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3일 평양 5·1경기장에서 대잡단체조 '인민의 나라'를 관람하고 관중들에게 손을 흔드는 가운데,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사진 왼쪽 원)과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으로 추정되는 인물(사진 오른쪽 원)이 보인다. ⓒ조선중앙통신

손용우 선진통일건국연합 사무총장(북한학 박사)은 "북한 당국은 남한의 모든 매체를 망라해 실시간 분석하고 전략적 대응 방안과 선전선동 및 여론조작 전략까지 수립한다"며 "노동신문·조선중앙통신 등 북한의 언론 대응은 거의 대부분 대남 전선전략 차원에서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김여정·김영철의 때맞춘 등장은 '남한 언론이 잘못된 판단을 했다'는 메시지를 던지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며 "북한 정권의 불예측성을 과시하고 국내 언론에 대한 불신 및 혼란을 가중시켜 전략적 우위를 점하려고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처럼 북한 당국이 발 빠른 여론전에 나선 이유는 김 위원장의 '정상국가지도자' 이미지를 고착화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확산을 통해 대북제재에 대해 부정적인 여론을 일으키고, 남한 내 지지세력을 형성해 핵 협상 테이블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려는 의도라는 것이다.

아울러 '북한은 핵무기를 보유하면서도 국제사회와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파하는 것은 부분적 핵 보유를 인정받는데도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반대로 김 위원장이 회담 결렬의 책임을 물어 가장 아끼는 측근과 여동생을 처벌했다는 '잔혹한 지도자' 이미지가 고착화 되는 것은 이같은 구상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한미 정치권에서는 비핵화를 대가로 김정은 독재체제를 용인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연일 높아지는 상황이다. 이 와중에 하노이 회담 책임자에 대한 '숙청설'이 불거지는 것은 국제사회가 김 위원장을 겨냥한 인권지적의 강도를 높이는 근거가 될 수 있어 북측이 특별 대응에 나섰다는 해석이다.

이배운 기자 (lbw@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배운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