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빚보증만 57조' 금융지주, 건전성 관리 도마


입력 2019.05.21 06:00 수정 2019.05.21 11:24        부광우 기자

5대 금융지주 올해 1분기에만 3000억 넘게 불어

기업 등 대출의 질 악화 우려…리스크 번질까 고심

5대 금융지주 올해 1분기에만 3000억 넘게 불어
기업 등 대출의 질 악화 우려…리스크 번질까 고심


국내 5대 금융지주 채무보증 추이.ⓒ데일리안 부광우 기자 국내 5대 금융지주 채무보증 추이.ⓒ데일리안 부광우 기자


하나금융지주가 고객의 빚에 문제가 생겼을 때 이를 대신 책임지겠다고 보증한 금액이 올해 들어 3개월 만에 6000억원 넘게 불어나면서 18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 그래도 이 같은 채무보증이 국내 금융지주들 가운데 눈에 띄게 많았던 하나금융은 짐이 더욱 무거워지게 됐다.

최근 들어 대출의 질 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와중, 수수료를 벌어들이려는 욕심에 무리하게 보증을 확대하다 자칫 재무 건전성 위험을 키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신한·KB국민·우리·하나·NH농협금융 등 국내 5대 금융지주들의 확정·미확정 지급보증과 배서어음을 포함한 채무보증은 총 57조206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56조9022억원)과 비교하면 0.5%(3041억원) 늘어난 금액이다.

이 같은 채무보증의 절대적인 부분을 차지하는 지급보증은 표현 그대로 보증을 해준 고객이 돈을 갚지 못하게 됐을 때 해당 은행들이 이를 대신해 상환해주겠다고 약속한 돈을 의미한다. 은행은 주로 신용장 거래를 비롯한 각종 무역거래나 회사채 발행 등을 통해 자금을 차입하려는 기업이 담보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급보증을 해 준다. 이에 따라 무역 거래에 문제가 생기거나 기업이 부도를 냈을 경우 지급보증을 한 은행이 돈을 변제하게 된다.

금융지주별로 보면 하나금융의 채무보증 규모가 단연 눈에 띄었다. 하나금융의 채무보증은 같은 기간 17조4075억원에서 3.5%(6064억원) 증가한 18조139억원에 달했다. 이로써 지난해에도 최대 채무보증 보유량을 기록했던 하나금융은 올해 들어 경쟁사들과의 격차를 더욱 벌리게 됐다.

신한금융과 우리금융도 채부보증이 10조원을 넘기며 그 액수가 큰 축에 속했지만 하나금융과 비교하면 5조원 가량 적은 수준이었다. 신한은행의 채무보증은 13조4243억원에서 2.4%(3250억원) 늘어난 13조7482억원을 나타냈다. 우리금융은 12조6664억원에서 12조4450억원으로 채무보증이 1.7%(2214억원) 줄었다. 이밖에 KB금융은 8조195억원에서 7조633억원으로, 농협금융은 5조3856억원에서 5조359억원으로 각각 0.7%(562억원)와 6.5%(3497억원)씩 채무보증이 감소했다.

은행들이 위험을 감수하고 지급보증에 나서는 이유는 수수료 수입이다. 별도의 자금 집행 없이도 수수료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은 은행들에게 적잖은 메리트다. 그러나 보증인을 대신해 돈을 갚게 된 이후 담보를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면 손실은 고스란히 은행의 부담이 된다.

문제는 차주들의 대출 건전성에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는 점이다. 빚을 제대로 갚지 못하는 이들이 늘수록 채무보증에 따른 은행들의 부담도 늘 수밖에 없다. 그 중에서도 은행들의 주요 지급보증 대상인 국내 기업들의 경영 환경을 둘러싼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다는 점은 더욱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국내 경기는 그 어느 때보다 좋지 못한 실정이다. 올해 1분기 국내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0.3% 감소하며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것은 최근의 불황을 상징하는 측면이다. 이 같은 전기 대비 GDP 성장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한파가 몰아 닥쳤던 2008년 4분기(-3.3%) 이후 41분기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조만간 발표될 올해 4월 경상수지가 적자로 발표될 경우 위기감은 더욱 조고될 것으로 관측된다.

대외적으로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분쟁의 불확실성이 기대와 달리 더욱 커지고 있는 현실이다. 우리나라의 성장 엔진인 수출 기업들로서는 불안이 커질 수밖에 없는 조건이다. 지난 10일 미국은 2000억달러 규모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10%에서 25%로 인상하며 중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그러자 중국 정부는 다음달 1일부터 600억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해 5~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며 맞불을 놓은 상태다.

금융권 관계자는 "국내 경기 불황과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가 겹치면서 기업 대출의 건전성에 대한 염려도 확산되고 있다"며 "이런 걱정이 현실로 다가올 경우 금융사들에게까지 리스크가 퍼질 수 있는 만큼, 은행들이 채무보증 관리에 은행들이 좀 더 신경 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