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삼성 “미래기술 연구, 결과 요구하지 않아...실패는 당연”


입력 2019.04.10 14:53 수정 2019.04.10 17:22        이홍석 기자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독창적·모험적 연구 추구...총 6667억원 지원

개방성·공익성·독립성·투명성 갖춰..."2022년 이후 지속 여부 고민"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독창적·모험적 연구 추구...총 6667억원 지원
개방성·공익성·독립성·투명성 갖춰..."2022년 이후 지속 여부 고민


김성근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이 10일 서울 중구 태평로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열린 삼성전자 미래기술 육성사업 상반기 선정과제 브리핑에서 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삼성전자 김성근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이 10일 서울 중구 태평로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열린 삼성전자 미래기술 육성사업 상반기 선정과제 브리핑에서 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삼성전자
“새로운 길을 여는 것이 연구라는 점에서 실패는 어쩌면 당연한 것이다. 삼성 미래기술육성 사업은 결과를 요구하지 않아 실험적이고 모험적인 과제가 많다는 점에서 정부 과제와 다르다.”

김성근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교수)은 10일 서울 중구 태평로빌딩에서 개최된 ‘2019년 상반기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연구과제’ 브리핑에서 삼성이 지원하는 미래기술 연구과제들의 차별성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지난 2013년부터 시작된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오는 2022년까지 1조5000억원을 지원한다는 목표 하에 ▲기초과학 ▲소재기술 ▲정보통신기술(ICT) 등 3개 분야에서 연구 과제를 선정해 오고 있다.

기초과학은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이, 소재기술과 ICT는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가 맡고 있으며 지금까지 517개 과제(기초과학 분야 180개, 소재기술 분야 160개, ICT 177개)에 총 6667억원을 지원했다. 올 상반기에도 총 44개 과제(기초과학 16개, 소재기술 11개, ICT 17개)에 연구비 617억원을 투입한다.

김성근 이사장은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안정한 육로로 예정된 목적지를 가는 것이 아닌, 바다의 바람에 맞서 세상 끝까지 가는 도전에 비유하면서 독창적이고 모험적인 것을 추구하는 연구를 통해 새로운 길을 여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이사장은 “단순히 기부하는 것이 아닌, 재단을 만들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하는 것”이라면서 “반복되는 실패에도 흔들리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업을 추진해 국내 과학기술이 진정으로 세계를 이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김성근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가운데)이 10일 서울 중구 태평로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열린 삼성전자 미래기술 육성사업 상반기 선정과제 브리핑에서 기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은 음두찬 삼성미래기술육성센터장(상무), 오른쪽은 심사위원장인 김은경 연세대학교 교수.ⓒ삼성전자 김성근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가운데)이 10일 서울 중구 태평로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열린 삼성전자 미래기술 육성사업 상반기 선정과제 브리핑에서 기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은 음두찬 삼성미래기술육성센터장(상무), 오른쪽은 심사위원장인 김은경 연세대학교 교수.ⓒ삼성전자
그는 삼성의 미래 기술 육성 연구과제의 장점으로 개방성을 꼽았다. 이 사업을 통해 나온 연구가 창업이나 기업 활용으로 이어지는 등 국내 전체에 자유롭게 열려있다는 것이다.

또 2013년 재단 설립을 통해 사업을 추진할때만 해도 삼성이 미래 기술을 소유해 이를 좌지우지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지만 지난 6년간 그런 사례는 없었다며 공익성도 강조했다.

김 이사장은 “정부에서 연구개발(R&D) 하지 않는 것을 삼성 미래기술육성사업이 추진하고 있어 협력과 시너지가 잘 이뤄지고 있다고 본다”며 “대기업이 출자해 재단 사업에 간섭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지만 삼성은 출자만 한다”고 설명했다.

음두찬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장(상무)도 “응용기술의 경우, 애플과 구글 등 해외 업체로의 유출에 대한 안전장치를 제외하면 국내 어느 기업이나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며 “계열사 등과 협업도 연구진의 요청에 따라 이뤄지는 것으로 우리가 먼저 개입하지는 않는다”며 개방성과 함께 독립성을 강조했다.

연구 과제 선정 과정에서의 투명성도 강조했다. 과제 선정 심사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은경 연세대 교수는 “노벨상 수상자 등 해외 포함 3000여명의 심사위원 풀이 있다”며 “누가 어떤 연구 과제로 신청을 했는지 알 수 없는 구조로 투명한 선발과정을 거친다”라고 말했다.

현재 2022년까지 시한이 정해져 있는 이 사업이 향후 계속 유지될지 여부에 대해서는 내부적으로 고민이 있음을 내비쳤다.

음 센터장은 “사업을 시작한지 6년이 됐지만 아직 8000억원도 사용하지 못해 정해진 10년에 1조5000억원을 사용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며 “절대평가로 과제를 선정하면서 연간 금액을 정해놓지 않고 썼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제도 존속이나 추가 투자 등의 문제는 내부적으로도 고민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