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복제약값 개편안이 불러올 제약업계 지각변동…대형제약사 ‘표정관리’


입력 2019.03.26 06:00 수정 2019.03.25 17:50        이은정 기자

복제약값 개편안 진통 속…약가인하 3년 유예 검토

중소제약사 ‘울상’…의약업 및 의약품 유통업계 ‘방긋’

복제약값 개편안 진통 속…약가인하 3년 유예 검토
중소제약사 ‘울상’…의약업 및 의약품 유통업계 ‘방긋’


ⓒ연합뉴스 ⓒ연합뉴스

보건복지부의 복제약(제네릭) 약가제도 개편안이 지난 25일 발표될 예정이었으나 제약업계의 반발로 연기됐다. 복지부는 이번 주 내로 발표 시기를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자체 생산에 약가 우위를 내주고, 공동생동을 폐지하는 방향으로 제네릭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복지부는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생동시험)을 공동으로 수행하는 경우 조건에 따라 약가를 차등적으로 부여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직접 생동 시험을 하면서 자체 제조하고 원료의약품까지 등록하는 업체 제품에 대해서는 기존처럼 오리지널 약가의 53.55%로 가격을 인정해주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자체 제조·원료의약품 등록·직접 생동 시험이라는 3가지 요건 중 2개만 충족하면 오리지널 약가의 43.55%, 1개만 충족하면 33.55% 정도로만 가격을 인정해 주는 방식이다.

여기에 동일성분 내 제네릭이 20개 이상일 경우에는 최저가의 90%선으로 등재가격을 낮추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아울러 신규 약제는 즉시 적용하고, 기등재 품목은 2년간 유예기간을 적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정부의 메시지는 간단 명료하다. 앞으로는 복제약을 쉽게 만들지 못하도록 하고, 쉽게 만든 복제약에는 약가를 적게 산정하겠다는 것이다.

◆우는 중소제약사 떡 하나 더 줄까?

하지만 이렇게 되면 중소제약사에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중소업체를 중심으로 한 제약업계는 3가지 요건 가운데 ‘자체 제조’ 요건은 생략하고 기존 품목 적용 유예기간도 2년이 아닌 3년으로 늘려 달라고 복지부에 건의했다.

복지부는 제약사들의 제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종 발표 과정에서 다시금 애초 안을 그대로 유지할 가능성도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조만간 약가 개편안을 발표할 예정이지만 아직은 어떤 내용이나 입장도 알려줄 수 없다”며 말을 아꼈다.

기등재 품목 적용 등 구체적인 방안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생동시험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제약사들은 그동안 공동 생동시험을 해온 수탁기관들이 몰려드는 시험을 소화하는 게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 현재 생동시험과 임상 1상을 수행하는 임상시험실시기관은 전국 10여곳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 200여곳에 달하는 임상시험실시기관의 대부분이 임상 3상시험에 집중하고 있어서다.

생동시험 환자 모집도 쉬운 일이 아니다. 암환자 대상 생동시험은 최소 3~5년이 걸리기 때문이다.

◆표정 관리 들어간 대형제약사, 의약품 업계

개편안 발표를 앞두고 표정관리에 신경 쓰는 기업도 있다. 대형제약사들은 대부분 이번 약가인하 개편안이 국내 제약산업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소하고 경쟁력을 강화할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는 눈치다.

범람했던 제네릭 시장에서 대형제약사들이 우위를 점하는 것은 물론 향후 전반적인 제약시장도 이들 위주로 재편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같은 성분의 복제약들이 포장지만 바꿔 출시되는 현 상황이 개선되면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만 살아남게 될 것이란 핑크빛 전망도 나온다.

의약업계 및 의약품 유통업계 역시 환영하는 분위기다. 김대업 대한약사회 신임회장은 앞서 박능후 복지부 장관과의 간담회에서 “3만개 의약품이 브랜드인 나라는 어디에도 없다”면서 “우리나라 제네릭 정책은 비정상적이며, 약이 많으니까 리베이트만 많아진다”며 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선혜 의약품 유통협회 회장도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우리나라 의약품 수가 너무 많아 고질적인 반품 문제 등이 발생한다”며 “공동생동 제한 방안에 대해 공감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은정 기자 (e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이은정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