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종자신분증’ 모델 개발…자원 보호·부정유통 방지에 활용


입력 2019.02.28 15:33 수정 2019.02.28 15:36        이소희 기자

농진청, 종자특성·기능성분 등 검색프로그램 모델…콩·메밀 품종 시범 개발

농진청, 종자특성·기능성분 등 검색프로그램 모델…콩·메밀 품종 시범 개발

사람들 누구에게나 부여된 주민등록증처럼 식물체의 품종에도 일명 ‘종자신분증’이 일부 품종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개발돼, 향후 국가표준모델로 제도화 될 경우 유전자원 보호나 종자관리 기반구축, 부정유통 방지 등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는 국내 농작물의 품종과 유전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유전정보와 특성을 표준화한 ‘종자신분증’ 모델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개발된 종자신분증은 이름 대신 작물의 품종명을 사용하고, 얼굴 사진은 식물체의 꽃이나 종자 사진, 지문은 품종의 바코드로 표시되는 유전형을 사용한다.

작물의 유전형을 분석해 종자의 표현형, 기능성분을 표준화한 뒤 시각화 해 일반인들도 쉽게 알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현재까지는 콩과 메밀을 모델로 종자신분증이 개발됐다. 개발된 품종 인식 프로그램(MyCrops_soybean, MyCrops_buckwheat)은 콩 147품종과 메밀 국내외 90자원을 인식한다.

콩과 메밀의 주요 품종과 유전자원의 종자 특성, 기능성분(이소플라본, 루틴)을 분석해 자료화(DB)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유전형, 표현형, 기능성분을 한 번에 검색할 수 있는 융합 플랫폼 프로그램의 모델이다.

관련 정보를 담은 QR코드를 만들어 가공제품에 부착하면 소비자는 휴대전화로 쉽게 종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콩을 활용한 ‘종자신분증’ 기술 ⓒ농진청 콩을 활용한 ‘종자신분증’ 기술 ⓒ농진청

이 같이 종자신분증이 개발된 배경에는 자원의 권리보호와 수입농산물 부정유통 방지 측면에서 출발했다.

종자보호와 권리가 점차 중요해지는 가운데 증가되는 유전자원 활용 농업적 형질 관련 빅데이터 요구, 재래종 이용 신품종 개발 시 재래종 보유국과 이익공유 등에 따른 국내 품종과 유전자원의 체계적으로 관리가 대두된 것이다.

농진청 관계자는 “최근 국제식물신품종보호연맹(UPOV)의 상업용 품종의 배타적 권리 강화로 국내자원의 권리보호에 있어 종자신분증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면서 “종자 로열티로만 연간 약 160억원이 지불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현장에서는 한 해 4000건 가깝게 국산으로 둔갑되면서 수입업자는 1.4~4배 이상의 폭리를 취하고 있는 상황으로, 수입농산물 부정유통을 스마트하게 단속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도 종자신분증 개발에 영향을 끼쳤다.

생산자인 농민의 입장에서 보면 농산물 값 하락으로 농가소득이 감소하게 되고, 소비자 입장에서 보면 안전하지 않은 먹거리로 국민건강을 위협받게 되기 때문이다.

구본철 농진청 고령지농업연구소장은 “이 제도가 도입되면 품종과 유전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농산물 가공제품의 종자신분증을 통해 종자 생산지, 가공업체 등 생산 이력을 알 수 있어 안심할 수 있다.”면서 “현재 콩과 메밀의 종자신분증 모델은 완성 단계이며, 다른 식량작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소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