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유승민, 탈당설 대신 '수도권 차출론' 고개


입력 2019.02.22 17:00 수정 2019.02.22 17:22        이동우 기자

2030세대 높은 지지율 활용·당 희생론 제기

"역대 대통령 TK 잃고 당선 안돼"…부정적 기류도

2030세대 높은 지지율 활용·당 희생론 제기
"역대 대통령 TK 잃고 당선 안돼"…부정적 기류도


유승민 바른미래당 전 공동대표가 지난해 5월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바른미래당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1년 평가 토론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유승민 바른미래당 전 공동대표가 지난해 5월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바른미래당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1년 평가 토론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유승민 바른미래당 전 대표의 탈당설이 주춤해지자 당내 일각에서 내년 총선 수도권 차출론이 제기되고 있다. 유력 대권 주자이자 당내 핵심자산으로 꼽히는 유 전 대표가 총선을 통해 수도권에 정치적 디딤돌을 놔야한다는 주장이다.

22일 정치권에 따르면 바른정당 출신 한 의원은 출입기자들과 오찬을 갖고 유 전 대표의 역할론을 강조했다. 그는 “의원연찬회 이후 정체성 문제를 들어 유 전 대표가 잠행에 들어갈 이유가 전혀 없다”면서 “그가 당에서 가장 큰 자산인 것은 국민들이 더 잘 안다. 자신의 갈 길을 꿋꿋이 가면 된다”고 평가했다.

그는 “유 전 대표가 내년 총선에서 어떤 결정을 내릴지 예단할 수 없지만 수도권에서 승부를 펼쳤으면 생각한다”며 “그가 대권 후보로 ‘개혁보수’를 강조하는 만큼 TK(대구·경북)를 벗어나 수도권과 2030 젊은 세대의 높은 인지도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출신 바른미래당 주요 당직자는 유 전 대표의 수도권 차출론에 동의하면서도 당을 위한 희생이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그는 “유 전 대표가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을 통합하면서 사실 어떠한 고통분담을 했느냐”며 “통합 직후 6.13 지방선거에서 공천 갈등을 제외하고 당을 위해 역할을 하지 않았다”고 냉정하게 평가했다.

그러면서 그는 “유 전 대표가 여전히 당의 주요 자산이자 대권 주자인 점은 모두가 인정하는 사실”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다가오는 총선에서 수도권을 비롯한 서울 종로 등 주요 격전지에서 이번에야말로 당을 위해 역할을 해줄 때가 됐다. 그것이 TK를 벗어나 더 큰 정치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총평했다.

유승민 바른미래당 전 대표가 지난해 6월 울산 북구 정자회직판장에서 시민과 악수를 하고 있다.(자료사진)ⓒ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유승민 바른미래당 전 대표가 지난해 6월 울산 북구 정자회직판장에서 시민과 악수를 하고 있다.(자료사진)ⓒ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실제 최근 주요 차기 대권 후보 여론조사에서 유 전 대표는 황교안 전 총리, 이낙연 총리 등에 밀리는 상황이다. 바른미래당 지지도 또한 대구·경북에서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 여론조사 기관 리얼미터가 실시한 2월3주차 정당지지율 조사에서 바른미래당은 7.0%로 전주 대비 1.0%p 상승, 수도권과 호남, 부산·울산·경남과 달리 TK에서만 2.0%p하락한 5.5%를 기록했다.(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리얼미터 홈페이지(http://www.realmeter.net/category/pdf/)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http://www.nesdc.go.kr) 참조.)

반면 유 전 대표의 수도권 차출론에 부정적인 목소리도 나온다. 바른미래당 한 관계자는 데일리안과 인터뷰에서 “역대 대통령 중 TK를 버리고 대통령에 당선된 분은 없다”며 “유 전 대표가 자신의 최대 지역기반인 TK를 떠나기는 사실상 힘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지난 20대 총선에서 당을 떠나 무소속으로 출마에 무려 75%의 득표율을 보인 바 있다”며 “당을 위한 희생론에 대해서는 일부 공감하는 부분이 있지만 총선이 1년이나 남은 현재 상황에서 TK지역의 민심을 예단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유 전 대표는 이날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요건을 강화하고, 조사가 면제된 사업에 대해서는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의무화하는 국가재정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정부가 지난달 29일 24조 1000억원 규모의 23개 지역사업을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대상으로 선정, 이 제도를 무력화시킨다는 정치권의 지적에 유 전 대표는 사후 적정성 강화에 집중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동우 기자 (dwlee99@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동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