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인건비에 발목 잡힌 국민은행, 순익 2위도 '불안'


입력 2019.02.18 06:00 수정 2019.02.17 19:50        부광우 기자

순익 1위 타이틀 신한은행에 뺏겨…경쟁 은행들까지 턱 밑 추격

희망퇴직·보로금 비용, 실적 발목…불어나는 지출에 커지는 고민

순익 1위 타이틀 신한은행에 뺏겨…경쟁 은행들까지 턱 밑 추격
희망퇴직·보로금 비용, 실적 발목…불어나는 지출에 커지는 고민


국내 4대 은행 순이익 추이.ⓒ데일리안 부광우 기자 국내 4대 은행 순이익 추이.ⓒ데일리안 부광우 기자

KB국민은행이 국내 은행 순이익 1위 타이틀을 신한은행에 빼앗겼다. 불어난 사람값에 발목을 잡히는 사이 신한은행을 제외한 다른 시중은행들도 턱밑까지 치고 올라오면서 이제 국민은행은 2위 자리마저 장담하기 어려운 처지가 됐다. 올해 초 불거진 총파업 사태를 겨우 매듭짓긴 했지만, 이를 계기로 직원들과 관련된 비용이 더 커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빠르게 쫓아오는 경쟁사들을 바라보는 국민은행 고민은 계속 커져갈 전망이다.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은행의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순이익은 2조2243억원으로 전년(2조1750억원) 대비 2.3%(493억원)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로써 2017년 국내 시중은행 중 최대 실적을 거뒀던 국민은행은 신한은행에 순이익을 추월당하게 됐다. 신한은행의 순이익은 같은 기간 1조7123억원에서 2조2790억원으로 33.1%(5667억원)나 늘면서 국민은행을 앞질렀다.

KEB하나은행과 우리은행도 2조원 대의 연간 순이익을 올리며 국민은행을 바싹 뒤쫓았다. 하나은행의 지난해 순이익은 2조928억원으로 국민은행을 1000억여원 차이로 추격했다. 다만, 1년 전과 비교하면 순이익이 다소(0.5%·107억원) 줄면서 격차를 더 좁히지는 못했다. 우리은행의 경우 같은 기간 순이익이 1조5121억원에서 2조192억원으로 33.5%(5071억원) 급증하며 본격적인 경쟁 레이스에 신호탄을 울렸다.

국민은행의 성적이 신통치 않았던 주요인은 구성원 관리와 연계된 지출 확대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말 희망퇴직과 특별 보로금으로 4000억여원에 이르는 부담을 감당해야 했다. 해당 비용이 포함된 지난해 4분기 국민은행의 순이익은 1451억원으로 전년 동기(3337억원) 대비 56.5%(1886억원) 급감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일회성 비용이 늘어난 영향으로 지난해 4분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를 나타냈다"며 "이자이익은 지난해 원화대출이 연간 9.6% 성장한데 힘입어 견조한 증가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국민은행의 직원 관련 비용이 앞으로 계속 쌓여 갈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우선 국민은행은 최근 해마다 희망퇴직을 시행 중이다. 올해 초 진행한 희망퇴직의 경우 600여명에 달하는 신청자가 몰렸다. 대상자만 2100명으로 지난해보다 300여명 늘어난 데다, 특별퇴직금도 최대 39개월 치 급여로 전보다 3개월분이 늘어나면서 어느 해보다 희망퇴직 규모가 컸다.

보로금 역시 계속될 짐들 가운데 하나다. 지난 1월 국민은행 노동조합은 19년 만에 총파업을 벌이며 사측과 맞섰다. 파업의 단초는 보로금이었다. 국민은행은 성과급 지급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어 보로금이라는 명목으로 성과급을 지급해 왔다, 그런데 보로금은 노사가 매년 협상을 통해 액수를 정해야 하고 성과연동제와 달리 예측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국민은행 노사는 성과연동제를 채택하고자 협상을 벌였지만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그러자 국민은행 측은 성과연동제 도입 대신 보로금 300%를 지급하겠다며 한발 뒤로 물러났지만, 끝내 노조는 파업 카드를 꺼내들었다. 지난 달 말 중앙노동위원회에서 제시한 사후조정안을 노사 양측이 수용하면서 파업은 일단락 됐지만, 5년 안에 개선안을 마련한다는 조건으로 외부전문가와 함께 급여체계 개선을 위한 태스크포스를 운영하기로 한 상태인 만큼 아직 갈등의 불씨가 완전히 꺼졌다고 보기는 힘들다.

금융권 관계자는 "항아리 형이 고착화 된 국내 은행들의 인력 구조를 고려하면 퇴직 비용 확대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관측된다"며 "시중은행들 중 임직원이 가장 많은 국민은행의 경우 이로 인한 부담이 더욱 클 수 있다"고 말했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