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5.18 북한군 개입설…'당사자' 북한의 입장은?


입력 2019.02.12 01:00 수정 2019.02.12 06:00        이배운 기자

노동신문 “특수부대 개입? 황당무계한 궤변…만행의 배후는 미국”

군 출신 탈북자 “당시 북한은 대남공세 기회 놓쳤다고 아까워해”

노동신문 “특수부대 개입? 황당무계한 궤변…만행의 배후는 미국”
군 출신 탈북자 “당시 북한은 대남공세 기회 놓쳤다고 아까워해”


지난 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5.18 진상규명 대국민공청회’가 개최된 가운데 보수단체 관계자들과 5.18 관련단체 관계자들이 몸싸움을 벌이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지난 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5.18 진상규명 대국민공청회’가 개최된 가운데 보수단체 관계자들과 5.18 관련단체 관계자들이 몸싸움을 벌이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자유한국당에 소속된 일부 의원들이 5·18 민주화운동에 북한군이 개입했다고 주장하면서 파장이 일파만파다.

김진태·김순례·이종명 자유한국당 의원은 지난 8일 국회에서 열린 ‘5·18 진상규명 공청회’에 참석해 지만원 씨의 ‘5·18 북한군 개입설’에 공감의 뜻을 표하고 “5·18 폭동이 민주화운동으로 변질됐다”, “5·18 유공자는 괴물집단” 이라고 발언했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이들의 자진사퇴를 촉구하는 등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는 상황이다.

개입설의 당사자인 북측은 최근 불거진 논란과 관련해 아직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고 있지 않다. 북한 당국의 입장을 대변하는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당의 수차례 검열 작업 및 보도 계획 절차를 따르는 탓에 보도시점이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

다만 노동신문은 매년 5·18 민주화운동을 ‘아시아 인민들의 반파쇼 민주화 투쟁사에 빛나는 장’이라고 추켜세우고, 북한군 개입설을 정면 부정하는 논평·보도들을 잇따라 내놨던 점을 감안하면 이번 논란에 대해서도 강한 반발의 뜻을 표출할 것으로 관측된다.

노동신문은 지난해 5월 ‘광주 인민 봉기자들이 흘린 피는 헛되지 않았다’는 제목의 논평을 게재해 “광주인민봉기는 자주, 민주, 통일을 위한 남조선인민들의 투쟁사에 새로운 장을 아로새겼다”며 “광주인민봉기에 대한 류혈적 진압은 반인륜적인 대중학살범죄이며 이 만행의 배후조종자는 바로 미국이다”고 주장했다.

2017년 5월에는 ‘살인마 독재광들의 죄악은 반드시 결산 된다’는 제목의 논평을 통해 “박근혜 패당이 광주 인민봉기를 ‘종북세력들의 폭동’으로 몰아대며 희생자들을 모독했다”고 비판하며 “남조선인민들은 자주화·민주화되고 통일된 새 세상을 안아오기 위해 광주항쟁 용사들의 투쟁 정신으로 힘있게 떨쳐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5.18 진상규명 대국민공청회’가 개최된 가운데 보수단체 관계자들과 5.18 관련단체 관계자들이 몸싸움을 벌이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지난 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5.18 진상규명 대국민공청회’가 개최된 가운데 보수단체 관계자들과 5.18 관련단체 관계자들이 몸싸움을 벌이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같은해 12월에는 “미국이 광주대학살 만행에 개입해 전두환 일당을 피비린 살륙만행에 적극 부추기고 방대한 무력까지 투입한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고 주장했고, 2016년에는 “친미사대패당들은 광주인민봉기를 폭도들의 란동으로 매도하고 북 특수부대 개입이라는 황당무계한 궤변을 떠들면서 항쟁자들의 고귀한 넋을 무참히 유린했다”고 비판했다.

북한매체들의 이같은 보도는 지난 몇 년간 꾸준히 제기돼온 '5·18 북한군 개입설'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들 논란에 무대응으로 일관할 경우 자칫 개입설을 인정한 것으로 비쳐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한편 북한군 고위급 간부 출신의 한 탈북자는 복무 당시 5·18 민주화운동 개입 관련 작전은 일체 들어본 적이 없다고 못 박았다.

이 관계자는 “5·18 운동이 끝난 뒤 북한군 내부에서는 오히려 ‘조국통일의 기회를 아깝게 놓쳤다’는 얘기가 나왔었다”며 “광주에서 일어난 문제로 한국군 병력이 분산되고 민심이 혼란스러운 틈을 노려 공세를 펼쳤어야 하는데 이들 기회를 지나쳐 버렸다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5·18 민주화운동 당시 600여명의 북측 병력이 침투해 있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꼬집었다.

그는 “그것이 가능하려면 북한군 전체가 조직적으로 움직이고 ‘몇월 몇일 날에 남북에서 동시에 움직인다’는 대규모 군사작전으로 진행됐어야 한다”며 “실제로 그 작전이 추진됐다면 북한의 대부분 군 간부들은 작전 내용을 알고 준비에 들어갔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배운 기자 (lbw@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배운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