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작년 전국 땅값 4.58% 올랐다…거래량은 전년 比 3.9%↓


입력 2019.01.24 06:00 수정 2019.01.24 06:07        이정윤 기자

9.13 이후 시장안정‧금리인상 영향 등으로 11월부터 상승폭 둔화

2018년 연간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국토부 2018년 연간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국토부

국토교통부는 작년 한해 전국 땅값은 4.58% 상승해 2017년(3.88%) 대비 0.70%포인트 증가했다고 24일 밝혔다.

지가는 9.13 대책 이후 시장안정, 금리인상 영향 등으로 작년 10월 최고 기록 후 상승폭 둔화 추세다.

시도별로는 전년대비 수도권은 상승폭 확대(3.82→5.14%), 지방은 상승폭 둔화(3.97→3.65%) 중이다. 세종(7.42%), 서울(6.11%), 부산(5.74%), 광주(5.26%), 대구(5.01%) 순으로 상승했다.

서울(6.11%)은 전국 평균(4.58%)에 비해 다소 높으나, 경기(4.42%)나 인천(3.59%) 지역은 전국 평균(4.58%)을 하회했다.

세종(7.42%)이 최고 상승률을 보였으며 부산, 광주, 대구, 제주 등 5개 시·도는 전국 평균(4.58%)을 상회했다.

경기 파주시, 강원 고성군 등 남북경협 수혜지역 및 서울 용산구·동작구·마포구 등 개발호재지역 중심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울산 동구, 전북 군산시, 경남 창원성산구, 거제시, 창원진해구 등 산업 경기 침체 지역을 중심으로 하락했다.

용도지역별로는 주거(5.24%), 상업(4.38%), 계획관리(4.37%), 농림(4.06%), 녹지(3.75%), 생산관리(3.50%), 보전관리(3.01%) 순으로 상승했다.

이용상황별로는 주거용(5.16%), 상업용(4.66%), 전(4.18%), 답(4.00%), 임야(3.06%), 기타(3.01%), 공장용지(2.60%) 순으로 상승했다.

작년 전체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318만6000필지(2071.0㎢, 서울 면적의 약 3.4배)로 2017년(331만5000필지) 대비 3.9% 감소했으나, 2016년(299만5000필지) 대비 6.4% 증가했다.

거래량은 수도권은 소폭 증가, 지방은 감소했다. 특히 지역경기 침체에 따른 부산, 경남, 울산 지역 중심으로 감소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108만9000필지(1906.8㎢)로 2017년 대비 6.2%, 2016년 대비 2.1% 감소했다.

시도별 전년 대비 토지 거래량은 대전(9.9%), 경기(6.3%), 광주(6.1%), 전북(6.0%), 전남(3.2%)은 증가했고, 부산이나 경남 등은 감소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세종(28.5%), 대전(12.3%), 광주(3.2%), 인천(2.9%) 순으로 증가했고, 부산, 울산, 제주 등은 줄었다.

용도지역별로는 전년 대비 농림(3.7%) 거래량은 증가했고, 녹지, 관리, 개발제한구역, 상업, 주거, 자연환경보전, 공업 거래량은 감소했다.

지목별로는 전년 대비 공장용지(9.2%) 거래량은 늘었고, 전, 답, 대지, 기타(잡종지 등), 임야 순으로 거래량은 줄었다.

건물 용도별로는 전년 대비 공업용(15.0%) 거래량은 증가했고, 나지, 기타건물, 상업업무용, 주거용 순으로 거래량은 감소했다.

한편 국토부는 “지난해 수도권 중심의 주택시장 호조, 세종·광주 등 지방 일부지역 개발사업의 영향이 지가상승을 견인했다”며 “9.13 대책 이후 시장안정, 금리인상 영향 등으로 11월 이후 토지시장도 상승폭이 둔화되는 추세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해 지난해 발표한 수도권 공공택지와 인근지역(약 90㎢)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고, 이번 달 땅값 상승이 두드러진 세종시에 대해 불법행위 현장점검을 실시했다”며 “앞으로도 지가변동률 및 토지 거래량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을 검토‧시행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정윤 기자 (think_uni@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정윤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