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하락폭 커진 강남 아파트…‘강남불패’ 무너질까


입력 2019.01.17 06:00 수정 2019.01.17 08:55        원나래 기자

거래절벽도 심화…“그래도 강남은 강남” 여전

거래절벽도 심화…“그래도 강남은 강남” 여전

올해 첫째 주 강북권은 0.01% 오른 반면, 강남권은 -0.03% 떨어지며 하락폭이 점점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의 한 공인중개업소 모습.ⓒ연합뉴스 올해 첫째 주 강북권은 0.01% 오른 반면, 강남권은 -0.03% 떨어지며 하락폭이 점점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의 한 공인중개업소 모습.ⓒ연합뉴스

강남권을 중심으로 서울 아파트 가격의 하락폭이 확대되면서 ‘강남불패’가 무너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이 오히려 ‘강남불패 신화’를 지속시키는 역효과가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17일 KB부동산에 따르면 올해 첫째 주 강북권은 0.01% 오른 반면, 강남권은 -0.03% 떨어지며 하락폭이 점점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상승세를 보인 지역은 도봉구(0.07%)와 서대문구(0.04%)였던 곳에 비해, 하락률이 컸던 곳은 강남구(-0.10%)와 송파구(-0.08%) 등이었다. 강남권은 가락동 헬리오시티, 일원동 래미안루체하임 입주 영향으로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모두 동반 하락이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설 연휴 전까지 관망세가 이어지면서 가격이 크게 올랐던 대단지 중심으로 조정세가 유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연말부터 정부의 공급계획이 지속적으로 발표되면서 저가 매물을 기다렸던 수요층의 관망세는 사실상 짙어지고 있다.

지난주 서울시는 올해부터 2022년까지 정부 정책에 맞춰 공적임대주택 24만가구 공급한다고 발표했다. 이에따라 기존 계획한 도심 내 주택 8만가구까지 총 32만가구를 공급할 방침이다. 또 향후 정부가 3기신도시 조성을 통해 서울 인근에서 20만가구의 주택을 추가로 공급할 예정인 만큼 서울과 수도권 일대의 공급 부족 우려감은 어느정도 해소 될 것이란 평가다.

특히 이사철을 앞두고 2월 발표되는 정부의 표준지 공시지가에 대한 수요자들의 체감도가 강남 집값 향방에도 중요한 영향을 줄 것이란 분석이 이어졌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정부 주도의 공급확대를 예고하고, 주택담보대출 규제는 크게 강화되면서 내 집 마련을 위한 실수요자도 쉽게 거래에 나서지 못하고 관망하는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며 “올해부터 보유세 부담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주택 보유자들의 매도 물량이 시장에 쌓여가고 있지만 거래 절벽 현상은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하락폭은 커지고 있으나, 실질적인 거래는 이어지지 않는 게 사실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의 올 들어 이날 기준 아파트 매매거래량을 조사한 결과, 강동구 51건에 이어 강남구 45건, 송파구 39건, 서초구 32건 등으로 일평균 적게는 2건에서 많게는 3건의 거래만 간간히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같은 기간 일평균 17건에서 27건에 거래되던 것과는 확연하게 줄어들었다.

이는 강남 아파트 가격의 하락폭이 실질적인 수요자들에게는 체감을 못하는 데 있다는 해석이 높다. 최근 강남 일대를 포함한 서울 전 지역 아파트 호가는 수억원이 오른 곳이 많은 데 반해, 하락폭은 이에 비해 고작 몇 천만원 떨어진 데 그치고 있다.

강남의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시세보다 저렴한 급매물이 계속 늘어나고 있지만, 매수자들에게는 여전히 높은 가격으로 느껴지면서 거래가 이뤄지기가 쉽지 않다”며 “싸게 나온 급매물이 있는지 묻는 문의전화만 있을 뿐 거래로 이어지지 않아 거래절벽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다만 그는 “이러한 분위기가 언제까지 갈지는 모르겠으나, 그래도 아직까지 ‘강남은 강남’이라는 생각은 계속되고 있는 것 같다”며 “오히려 다른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떨어지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하락하면서 강남 지역에 대한 수요층은 더욱 단단해질 가능성은 높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원나래 기자 (wiing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