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우리은행 자금 조달 안정성 관리 시험대


입력 2019.01.15 06:00 수정 2019.01.15 06:11        부광우 기자

중장기 유동성 지표 악화일로…시중은행들 중 최저

개선 과정서 수익성 악화 우려…지주 전환 속 고민

중장기 유동성 지표 악화일로…시중은행들 중 최저
개선 과정서 수익성 악화 우려…지주 전환 속 고민


국내 시중은행별 순안정자금조달비율(NSFR) 추이.ⓒ데일리안 부광우 기자 국내 시중은행별 순안정자금조달비율(NSFR) 추이.ⓒ데일리안 부광우 기자

우리은행의 자금 조달 안정성이 국내 시중은행들 가운데 제일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지표가 조금씩 악화되면서 어느덧 금융당국이 새로 도입한 관련 규제 기준의 하한선을 바라봐야 하는 수준까지 떨어진 실정이다. 특히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일정 부분 수익성 악화를 감내해야 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면서, 지주 전환이라는 일대 변화의 전기를 맞은 우리은행에게 새로운 숙제를 안기고 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국내 6개 시중은행들의 평균 순안정자금조달비율(NSFR)은 113.5%로 집계됐다. NSFR은 중장기 유동성을 관리하는 지표다. 영업에 필요한 안정적인 자금원을 확보해 자금 조달 위험을 줄이자는 취지로 지난해 국내에 처음 도입됐다. 안정자금 가용 금액을 안정자금 조달 필요 금액으로 나눠 계산하며, 금융당국은 은행들로 하여금 이 비율을 100%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은행별로 보면 우리은행의 NSFR이 107.6%로 가장 낮았다. 규제 기준과 비교해 여유 폭은 7.6%포인트 정도다. 특히 NSFR 규제가 도입된 이후 두 분기 연속 하락세를 보이며 시중은행 최하위까지 내려왔다는 점은 부정적인 대목이다. 지난해 1분기 말 110.4%였던 우리은행의 NSFR은 같은 해 상반기 말 108.8%로 1.6%포인트 떨어지더니, 한 분기 새 또 다시 1.2%포인트 하락하며 지금의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 같은 우리은행의 NSFR은 시중은행들 중 이 수치가 가장 높았던 한국씨티은행(124.2%)과 비교하면 16.6%포인트나 낮다. KB국민은행(120.1%)과 비교해도 10%포인트 이상 떨어진다. 신한은행도 111.2%로 규제 하한선보다 10%포인트 이상의 NSFR을 나타냈다.

KEB하나은행과 SC제일은행의 경우 각각 109.7%와 108.1%를 기록하며 우리은행과 함께 NSFR이 낮은 축에 속했다. 다만 불과 한 분기 전만 해도 우리은행의 NSFR은 이들보다 높았다. 하나은행은 106.6%에서 1.5%포인트, SC제일은행은 106.9%에서 2.8%포인트씩 NSFR을 회복하면서 우리은행을 앞질렀다.

우리은행의 자금 유동성에 더욱 눈길이 갈 수밖에 없는 이유는 막 지주 체제로 구조 전환이 이뤄진 시점이라는데 있다. 장기 지속성 있는 성장을 위해 안정적인 자금 조달 여력은 필수적인 요소일 수밖에 없어서다. 우리은행은 지난 11일 우리금융지주 법인을 설립하고 본격 제체 전환을 선포했다.

이는 우리은행이 지주 해체의 아픔을 겪은 지 4년여 만의 일이다. 당초 우리금융은 2001년 4월 출범한 국내 최초의 금융지주사였다. 옛 한빛·평화은행과 광주은행, 경남은행 등을 자회사로 뒀다. 하지만 공적자금이 대거 투입된 금융사들이 뭉쳤던 만큼 정부 지분이 절대다수였고, 정부는 공적자금 회수를 위해 지속적으로 지분을 매각했다. 민영화가 진행되면서 지주사는 2014년 해체됐다.

지주사 전환이라는 큰 숙제를 해결한 만큼 이제 우리은행도 본격적인 NSFR 끌어올리기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수익성에 악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NSFR 관리는 크게 두 갈래로 나뉜다. 우선 자금 운용 차원에서 유동성이 높은 자산 보유를 늘리는 방안이다. NSFR 규제 충족을 위해서는 고(高) 유동성 자산 보유를 늘리거나, 상대적으로 자금 회수가 용이한 단기대출이 장기대출보다 유리하다.

하지만 천문학적으로 불어난 빚이 한국 경제의 뇌관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은행이 지금보다 대출을 눈에 띄게 확대하는 데는 한계가 분명하다. 특히 가계와 기업 대출의 질이 동시에 악화되고 있는 여건이어서 부담은 더 클 수밖에 없다.

이처럼 자금 운용에서 NSFR을 높일 대안을 찾기 힘들다면, 다른 해법은 중장기적인 자금 조달을 증대하는 방안이다. 이는 곧 예금의 확대를 뜻하고, 은행이 이를 위해 쓸 수 있는 카드는 예금 금리 인상이다. 은행 입장에서 보면 예대마진율이 저하될 수 있다는 의미다. 즉, NSFR 개선 과정이 은행 수익성에는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얘기다.

금융권 관계자는 "NSFR 규제 충족을 위해 자금 조달 측면에서는 소매 및 중소기업 예금 확대나 중장기 자금 조달 비중 확대가 필요하다"며 "이에 따라 은행들의 예수금 구조가 소매 예금과 만기 1년 이상의 중장기 예금 위주로 재편될 가능성이 있고, 이는 일정 기간 수신 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