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길잃은 바이오-상] 악재로 얼룩진 업계 1년…"성과 가려지고 부정 여론만"


입력 2018.12.13 06:00 수정 2018.12.13 06:04        최승근 기자

연중 분식회계 이슈로 부정적 이미지 팽배, 투자 심리 위축돼 걱정

현실에 맞는 기준 수립과 정부 내 바이오산업 전문가 풀 구성 시급

연중 분식회계 이슈로 부정적 이미지 팽배, 투자 심리 위축돼 걱정
현실에 맞는 기준 수립과 정부 내 바이오산업 전문가 풀 구성 시급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는 김태한 바이오로직스 대표. ⓒ삼성바이오로직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는 김태한 바이오로직스 대표.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업계는 올해 다사다난한 한 해를 보냈다. 분식회계 등 회계 이슈는 연중 계속됐고 주가조작 및 갑질 논란까지 더해지면서 일각에서는 최악의 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반면 갖은 악재에도 불구하고 수년간의 기술개발 노력이 결실을 맺기도 했다. 하지만 계속되는 부정 이슈로 바이오산업에 대한 투자심리는 위축되고 성과마저 가려지면서 내년을 준비하는 업계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한국거래소 기업심사위원회의 상장 유지 결정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거래가 재개된 지난 11일 셀트리온헬스케어에 대한 금융감독원의 분식회계 감리 착수 소식이 전해졌다. 바이오업계를 대표하는 두 회사의 잇따른 회계 논란에 업계는 다시 한 번 술렁였다. 상장폐지 위기를 벗어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거래 재개로 업계 전체가 한 숨 돌린 직후 발생한 일이다.

바이오산업의 경우 신약 연구개발에 오랜 시간과 많은 자금이 소요되는 반면 신약이 시장이 나오기 전까지는 수익이 나지 않아 안정적인 투자가 성공의 핵심이다.

하지만 올해 업계를 강타한 부정 회계 이슈가 연중 계속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될까 업계의 우려가 큰 상황이다.

연초부터 시작돼 12월까지 계속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 회계 논란에 3월에는 바이오기업을 대상으로 한 금감원의 테마감리가 있었고, 7월에는 네이처셀 라정찬 회장이 주가조작 혐의로 구속됐다.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 문제가 마무리되나 싶었던 지난 11일에는 셀트리온헬스케어 분식회계 논란이 불거졌다. 앞서 지난달에는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의 기내 갑질 사건이 도마에 오르기도 했다.

거의 연중 계속된 부정 이슈로 업계는 바이오산업 전체가 부정 집단으로 인식될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올해 계속된 악재만큼 성과도 있었지만 이런 점을 모두 묻혀버리고 악재만 있는 산업으로 비춰질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바이오업계는 올해 생산량 10조원, 수출 5조원을 달성했다. 기술 이전 규모도 5조원이 넘는다. 수년간 연구개발과 임상실험에 매진한 결과 미국 등 선진국 시장에서 신약의 효능을 인정받으면서 기술에서 상품으로 성과가 가시화되는 단계다.

(오른쪽 두번째부터) 지난 9월 제약 바이오 업계 채용 부스를 찾은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과 류영진 식품의약품안전처장.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오른쪽 두번째부터) 지난 9월 제약 바이오 업계 채용 부스를 찾은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과 류영진 식품의약품안전처장.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업계에서는 현실에 맞지 않는 제도와 바이오산업에 대한 정부의 낮은 이해도 등이 아쉽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정부의 시선이 여전히 바이오벤처 시절 연구개발 단계에만 머물러 있어 육성 보다는 규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치권 싸움의 희생양이 돼 원치 않게 휘둘리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경우에도 이전 정부에서는 문제없이 넘어갔던 사안이 이번 정부 들어 불법으로 치부돼 처벌을 받게 됐다는 것이다.

바이오업계 한 관계자는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는 식으로 기준을 적용하면 거기에서 빠져나갈 수가 없다”며 “삼성바이오나 셀트리온처럼 큰 회사들도 문제가 되는데 그 보다 작은 회사들은 어떻게 대응할 방법이 없다”고 하소연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정부가 일자리 창출의 보고라며 바이오산업을 추켜세우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부분은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라며 “무엇보다 정부 조직 내에도 바이오산업을 이해하는 전문가가 필요하고, 현실에 맞는 기준을 세우는 작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최승근 기자 (csk348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