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北, 정상회담 국면에도 사이버해킹…이대로 괜찮나


입력 2018.11.23 11:27 수정 2018.11.23 11:28        박진여 기자

국정원 "남북정상회담 후에도 해킹시도…예의주시"

사이버 해킹 비대칭전력 강화…"정부 대응책 미비"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데일리안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데일리안

국정원 "남북정상회담 후에도 해킹시도…예의주시"
사이버 해킹 비대칭전력 강화…"정부 대응책 미비"


남북미 대화 국면 속에도 북한의 사이버 해킹 공격은 계속되고 있다. 최근에는 남북 정상회담 정보 탈취를 목적으로 해킹을 시도한 의혹이 불거지면서 국가안보에도 비상이 걸렸다.

남북이 민족화합을 약속한 역사적인 정상회담 이후에도 북한은 남측을 상대로 계속해서 해킹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가정보원은 지난 4월 판문점선언·9월 평양 정상회담 전후 북한의 해킹시도가 있었다는 의혹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서훈 국가정보원장은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북한이 우리 측과 국제사회를 상대로 해킹 시도를 계속하고 있으며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자유한국당 간사인 이은재 의원이 밝혔다. 일부 언론에서 북한이 청와대, 통일부, 외교부, 국방부 등 주요 관련 부처를 해킹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제기했지만, 구체적인 부서 해킹 얘기는 없었다는 전언이다.

북한의 사이버 침투 시도가 다양화·가속화되면서 핵미사일 다음 비대칭 전력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가안보 차원에서 사이버보안이 더욱 중요해지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의 대응은 여전히 미진한 수준으로 지적된다.

북한은 이미 노동당 공작기구들에 사이버테러 전담 부서를 운영하며 해킹 전력을 강력한 비대칭 전력으로 활용하고 있다.(자료사진) ⓒ연합뉴스 북한은 이미 노동당 공작기구들에 사이버테러 전담 부서를 운영하며 해킹 전력을 강력한 비대칭 전력으로 활용하고 있다.(자료사진) ⓒ연합뉴스

북한은 이미 노동당 공작기구들에 사이버테러 전담 부서를 운영하며 해킹 전력을 강력한 비대칭 전력으로 활용하고 있다. 지난 2009년 정부기관과 금융사, 포털 사이트 등을 공격한 7.7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대란을 일으킨 이래 불과 몇 년 새 청와대를 뚫을 만큼 해킹 능력이 비약적으로 발전한 모습이다.

실제 지난 2016년 국방부는 북한 해커 조직에게 국방망을 해킹 당해 각종 군사기밀이 유출된 바 있다. 북한은 또 대한항공 등 국내 주요 업체를 해킹해 자료를 탈취하고 정부 외교안보부처 공무원과 전문가 90명을 상대로 이메일 해킹을 시도하기도 했다.

이밖에도 2015년 서울메트로 해킹사건, 2014년 12월 한국수력원자력 해킹 및 청와대 사이버 공격, 2013년 6.25 사이버 공격 및 320 사이버 테러, 2011년의 농협 전산망 마비 등 금융·통신 등 민간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사이버테러를 감행하고 있다.

여기에 국제사회의 초강력 제재로 손발이 묶인 북한이 자금줄을 찾기 위해 해킹 활동을 더 강화할 것으로 관측된다.

남북·북미 정상회담 국면 속에도 북한의 사이버 해킹 공격은 계속되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남북·북미 정상회담 국면 속에도 북한의 사이버 해킹 공격은 계속되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이처럼 북한의 사이버테러 시도가 계속 심화·발전되는 상황에서 종전의 무조건적인 차단·방어태세는 북한의 해킹능력을 키워주는 소극적 조치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정보활동을 활성화해 대응능력을 키우는 것이 보다 실질적인 조치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의 요직에서 근무했던 한 안보전문가는 "사이버테러는 예방 및 신속한 대처가 가장 중요한데, 현재 민간과 국가 정보가 분리돼있어 종합적 분석이 어려운 탓에 신속한 대처에 구멍이 생길 수밖에 없다"며 "신속성을 확보하려면 현재 흩어진 정보의 공유와 공조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에 따르면 현재 사이버 분야에서 민간이 가지고 있는 정보가 80% 이상으로, 정확한 사이버 테러 예방 및 대응을 위해서는 민간이 가지고 있는 정보가 필수적이다. 이에 국가 총력 체제에서 민·관·군 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분석해 테러 위협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는 한편, 프라이버시나 인권 문제를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대응체계가 꾸려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진여 기자 (parkjinye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진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