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궤도 오른 북미 비핵화 협상…南北美中 외교전 '신호탄'


입력 2018.11.20 04:00 수정 2018.11.20 06:04        박진여 기자

무기한 연기된 북미 고위급회담, 이달 말 개최 가능성

시진핑 내년 방북…북미 협상 협조·영향력 확보 의도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은 북한과 2차 정상회담 전에 북한의 보유 핵무기·시설 목록을 요구하지 않을 것이라며 대신 본격적인 비핵화 협상에서 핵무기 사찰과 폐기 등에 대한 검증 가능한 구체적인 계획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자료사진) ⓒ조선중앙통신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은 북한과 2차 정상회담 전에 북한의 보유 핵무기·시설 목록을 요구하지 않을 것이라며 대신 본격적인 비핵화 협상에서 핵무기 사찰과 폐기 등에 대한 검증 가능한 구체적인 계획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자료사진) ⓒ조선중앙통신

무기한 연기된 북미 고위급회담, 이달 말 개최 가능성
시진핑 내년 방북…북미 협상 협조·영향력 확보 의도


한차례 미뤄진 북미 고위급회담이 이르면 이달말 재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내년 초 예고된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비핵화 빅딜을 향한 대화의 '입구'가 열린 가운데 남·북·미, 중국까지 가세한 '외교적 대회전'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북미가 고위급회담 재개를 위해 다각적 물밑 접촉을 이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앤드루 김 미 중앙정보국(CIA) 코리아 임무 센터장이 극비리에 판문점서 북측과 관련 협의를 가진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은 대화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우던 '핵신고' 요구를 뒤로 미루면서 회담의 문턱을 낮추기도 했다.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은 북한과 2차 정상회담 전에 북한의 보유 핵무기·시설 목록을 요구하지 않을 것이라며 대신 본격적인 비핵화 협상에서 핵무기 사찰과 폐기 등에 대한 검증 가능한 구체적인 계획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비핵화와 상응조치를 놓고 '누가 먼저 양보할 것인가'로 멈춰있던 비핵화 담판이 미국의 결단으로 다시 물꼬를 튼 셈이다. 북미 정상회담이 내년 초 예정된 만큼, 이를 위한 고위급회담이 이르면 이달 말 개최될 것으로 보인다.

미 국무부는 현재로서는 발표할 게 없다고 선을 긋고 있지만, 북미 간 물밑 접촉에서 어느 정도 성과가 나올시 고위급 회담 재개로 이어질 수 있어 주목된다. 회담 일정이 확정되면 기존대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이 뉴욕에서 다시 만날 것으로 점쳐진다.

시진핑 내년 방북…영향력 확보·비핵화 협조 변수

이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내 서울답방과 내년 초 2차 북미정상회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 등 한반도 정세를 둘러싼 중대 일정이 줄을 잇고 있다. 북미 대화가 순조롭게 재개된다면 연내 종전선언과 김정은 위원장의 답방도 가닥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시진핑 주석이 내년 방북 의지를 밝혀 주목된다. 당초 시 주석의 연내 방북 가능성이 제기되며 비핵화 협상의 변수로 부각됐으나, 시 주석이 "내년에 방북할 생각"이라고 언급하며 그 시기는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로 점쳐진다.

시진핑 주석이 내년 방북 의지를 밝혀 주목된다. 당초 시 주석의 연내 방북 가능성이 제기되며 비핵화 협상의 변수로 부각됐으나, 시 주석이 "내년에 방북할 생각"이라고 언급하며 그 시기는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로 점쳐진다.(자료사진) ⓒ조선중앙통신 시진핑 주석이 내년 방북 의지를 밝혀 주목된다. 당초 시 주석의 연내 방북 가능성이 제기되며 비핵화 협상의 변수로 부각됐으나, 시 주석이 "내년에 방북할 생각"이라고 언급하며 그 시기는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로 점쳐진다.(자료사진) ⓒ조선중앙통신

북한은 그동안 중국, 러시아 등 우방국과 연대를 강화해왔다. 북미 비핵화 협상에 앞서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과 시진핑 주석의 방북이 거론되면서 북·중·러 밀착이 비핵화 셈법을 복잡하게 만들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하지만 시 주석이 내년 방북을 시사하면서 북미 비핵화 협상의 중국 개입설을 일축한 셈이다. 최근 미중 간 2+2 외교·안보 대화에서 양국이 한반도 비핵화 문제에 대한 협력을 공유한 뒤 시 주석의 방북 시점이 발표되면서 적어도 2차 북미정상회담 이전에는 방북하지 않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는 중국이 북핵 문제에 끼어들지 않는 선에서 한반도 영향력 확대에 초점을 맞춘 행보로 해석된다. 이에 이번 북미 고위급회담에서 2차 정상회담에 대한 구체적인 일정이 조율되면 이후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북미 비핵화 협상, 시진핑 주석의 평양 방문 등이 순차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박진여 기자 (parkjinye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진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