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골치거리 지역주택조합 아파트, 효자 상품으로 등극


입력 2018.11.05 06:00 수정 2018.11.05 06:01        권이상 기자 (kwonsgo@dailian.co.kr)

지난해 설립인가 94곳으로 4년 전보다 5배 가까이 늘어

서희건설·쌍용건설 등 일반분양 성공적으로 이끌어, 대형사도 눈독

지역주택조합 아파트가 건설사들의 새로운 먹거리로 급부상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 전경.(자료사진) ⓒ 홍금표 기자 지역주택조합 아파트가 건설사들의 새로운 먹거리로 급부상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 전경.(자료사진) ⓒ 홍금표 기자


한동안 인기가 시들하던 지역주택조합 아파트가 건설업계의 효자상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몇년새 설립인가를 받은 지역주택조합 아파트가 5배 가까이 늘었고, 분양도 성공적으로 끝나며 건설사들의 실적에 크게 이바지 하고 있다.

지역주택조합 아파트는 시세 대비 낮은 조합원 분양가로 내 집 마련을 준비 중인 실수요자들에게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허위·과장 광고와 조합원 비리, 사업 무산 등으로 건설사들은 물론 조합원들의 애를 태우며 골치거리 취급을 받았다.

그러던 지역주택조합 아파트가 최근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내며 건설사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중견사들은 물론 메이저 건설사들도 지역주택사업을 눈여겨 보기 시작했다.

5일 건설 업계에 따르면 지역주택조합 아파트가 건설사들의 새로운 먹거리로 급부상하고 있다. 지난해 시행된 주택법 개정을 통해 조합총회 성사 기준 및 조합설립인가 기준이 강화된지 불과 1년여만에 안정성이 개선됐기 때문이다.

건설사 가운데 지역주택조합 사업을 가장 활발히 진행 중인 곳은 서희건설이다. 서희건설은 현재 지역주택조합 93개단지 약 8만2000여가구 규모의 사업 물량을 확보한 상태다. 이는 건설업계에서 가장 많은 수준이다.

이 가운데 일반분양 중인 곳은 12개 단지, 일반분양을 앞둔 단지는 2개 단지다. 서희건설은 올해 12개 단지에 대해 사업승인을 완료했고, 앞으로 10개 단지에 대해 추가로 사업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이와 함께 서희건설은 지역주택조합 사업의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지역주택조합사업 정보플랫폼인 서희고집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는 서희건설이 시공예정사로 선정된 사업 중 조합원 가입률 50% 이상, 토지 확보율 95% 이상인 곳을 소개하고 있다.

최근 지역주택조합 사업에 다크호스로 떠오른 건설사는 쌍용건설이다. 쌍용건설은 전국 곳곳에서 지역주택조합 아파트 일반분양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고 있다.

이는 지난 몇 년간 시공 예정사로 이름만 빌려줬던 것과 비교하면 가시적인 성과를 이루고 있는 셈이다.

쌍용건설이 지난 4월 분양한 김해 쌍용예가 더클래스의 경우 청약에서 최고 경쟁률 4.5대 1로 전 주택형이 1순위에서 마감됐다. 이달 초에는 광주시 우산동에서 ‘광산 쌍용예가 플래티넘’의 일반분양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 밖에 동양건설산업은 지역주택조합 사업을 포트폴리오에 넣어 수익 창출의 한 축으로 설정했다. 이 회사는 지난 2015년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졸업 후, 꾸준히 지역주택조합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서울 돈암동 ‘길음역 동양파라곤’을 비롯해 10여개 사업장을 확보한 상황이다.

대형 건설사들도 지역주택조합 사업에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이미 서울은 물론, 수도권과 지방에서 지역주택사업 10곳을 확보하고 공사를 준비 중이거나 조합원을 모집하고 있다.

대우건설은 최근 1040가구 규모의 전남 순천 동외동 지역주택조합 시공예정사 업무협약을 체결했고 제주 애월읍에도 지역주택조합 아파트(204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지역주태조합 사업의 경우 정비사업 실적 부진 등에 따른 업계의 새로운 먹거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그렇다고 리스크가 없는 것은 아니다. 주택건설 대지의 80% 이상 토지 사용권을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고 토지 사용권 확보를 하지 못했을 시 건설사는 책임을 피할 수 없다.

한 중견사 관계자는 “정부가 주택법개정으로 기준을 강화하면서 시장에서 안정적인 상품으로 떠올랐다고 평가한다”며 “다만 단순 시공사로 참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도 조합원 민원이나 조합원간의 갈등으로 사업이 지연되는 사례가 많아 사업지연에 따른 실적 악화 등의 부담은 여전하다”고 말했다.

한편 전국적으로 설립인가를 받은 지역주택조합은 지난해 기준 94곳(6만4015가구)으로, 4년 전(20곳·1만189가구)보다 5배 가까이 늘었다.

권이상 기자 (kwonsg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권이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