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北美, 뉴욕-빈 '투트랙' 접촉…꼬였던 비핵화 실타래 풀까


입력 2018.09.21 13:59 수정 2018.09.21 14:55        박진여 기자

한미 정상·북미 고위급·실무 접촉 '시동'

평양 남북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미국 정부가 '성공적'이라고 환영했다. 남북 정상의 '평양공동선언' 발표 뒤 15시간 만에 나온 반응이다. 미국은 북한의 비핵화 메시지를 보고 '협상에 참여할 준비가 됐다'고 판단했다. 당장 다음 주 유엔총회를 비롯해 닫혔던 북미대화가 열리면서 막혔던 비핵화 협상이 트일지 주목된다.(자료사진) ⓒ미 국무부 홈페이지 평양 남북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미국 정부가 '성공적'이라고 환영했다. 남북 정상의 '평양공동선언' 발표 뒤 15시간 만에 나온 반응이다. 미국은 북한의 비핵화 메시지를 보고 '협상에 참여할 준비가 됐다'고 판단했다. 당장 다음 주 유엔총회를 비롯해 닫혔던 북미대화가 열리면서 막혔던 비핵화 협상이 트일지 주목된다.(자료사진) ⓒ미 국무부 홈페이지

한미 정상·북미 고위급·실무 접촉 '시동'

평양 남북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미국 정부가 '성공적'이라고 환영했다. 남북 정상의 '평양공동선언' 발표 뒤 15시간 만에 나온 반응이다. 미국은 북한의 비핵화 메시지를 보고 '협상에 참여할 준비가 됐다'고 판단했다. 당장 다음 주 유엔총회를 비롯해 닫혔던 북미대화가 열리면서 막혔던 비핵화 협상이 트일지 주목된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19일(현지시각) 성명을 내고 "남북 정상이 미국과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의 참관 아래 영변의 모든 시설을 영구히 폐기하기로 한 것을 환영한다"며 "미국은 북미관계 전환을 위한 협상에 즉각 참여할 준비가 돼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나의 카운터파트인 리용호 북한 외무상을 다음 주 뉴욕에서 만나자고 초청했다"며 "또 가까운 시일내 오스트리아 빈에서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만나도록 북측 대표를 초청했다"고 밝혔다.

평양공동선언이 나온지 하루 만에 북미 고위급·실무접촉 추진에 시동이 걸린 모양새다.

폼페이오 장관이 "북한의 신속한 비핵화 과정을 통해 북미관계를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는 한편 한반도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협상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선언하면서 제2차 북미정상회담과 종전선언 성사 가능성을 시사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평양공동선언을 통해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 하에 우선 영구적으로 폐기하기로 했다. 이후 추가 조치에는 단서가 달렸다. 북한은 미국이 6·12 미북공동성명의 정신에 따라 상응 조치를 취하면 영변 핵시설의 영구적 폐기와 같은 추가적인 조치를 계속 취해나갈 용의가 있음을 표명했다.

2018 남북정상회담 평양 이틀째인 19일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북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9월 평양공동선언 합의문에 서명 후 포즈를 취하고 있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 2018 남북정상회담 평양 이틀째인 19일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북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9월 평양공동선언 합의문에 서명 후 포즈를 취하고 있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

美, 北 '상응조치' 요구에 "선 비핵화" 재확인

미국은 이에 대해 '환영'을 표하면서도 북한의 비핵화 조치가 먼저라는 '선(先) 비핵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미 국무부는 20일(현지시각) 북한이 추가 비핵화 조치 이행을 위해 미국에 '상응 조치'를 요구한 것과 관련 "어떤 것도 비핵화 없이 일어날 수 없다"며 비핵화 우선 원칙을 강조했다.

이에 뉴욕 유엔 총회 계기 예정된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한미정상회담, 폼페이오 미 장관과 리용호 북 외무상의 외교장관회담, 비건 미 대북정책대표와 북측 대표의 실무회담에서 비핵화 협상의 수준과 속도를 가늠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남·북·미 만남에서는 북한의 '동창리 검증' 외 추가 비핵화 조치 제시 여부와 이에 따른 미국의 상응 조치 등 보다 구체적인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 결과에 따라 다음 스텝으로 주목 받는 2차 북미정상회담과 종전선언도 어느 정도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제 시선은 다음 주 한미정상회담을 비롯해 북미 간 투트랙 접촉에 쏠린다.

먼저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북한의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 영구 폐기 등 조치와 합의문에 담기지 않은 북한의 추가 비핵화 조치 등을 언급하며 북미정상회담 개최를 중재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국이 북한에 요구해온 핵신고 문제가 구체화되지 않을 경우 북미 간 교착상태가 장기화 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박진여 기자 (parkjinye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진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