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엽 "바른미래·평화, 한국·민주 각각 갈사람은 가야"
박지원 "정계개편 출발점 손학규 될 수 있다"
천정배 "당 정체성 무엇인지 합의해 가는 과정 필요"
|
▲ 유성엽 민주평화당 최고위원이 지난 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공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
민주평화당 내부에선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가 꺼내든 야권발 정계개편을 두고 술렁이는 분위기다.
바른미래당과 '같은 뿌리'인 평화당이 비교섭단체 상태에 놓이게 되면서 국회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손 대표의 '정계개편론'은 일부 평화당 의원들이 반색할만한 이슈다.
유성엽 민주평화당 최고위원은 7일 최고위원·국회의원·상임고문 연석회의에서 “(바른미래당이) 안철수 전 대표가 사라지고, 유승민 전 대표가 당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그런 훌륭한 방향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이렇게 생각을 한다”며 “앞으로 바른미래당이 더욱 발전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앞서 유 최고위원은 바른미래당과 평화당에서 각각 자유한국당과 더불어민주당으로 갈 의원은 가고 나머지 의원들이 중도개혁을 지향하는 당을 만들자는 구상을 제시한 바 있다.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도 전날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손 대표가 당 대표가 되기 이전에도 당 대표가 유력하기 때문에 바른미래당에서 찾아와서 통합을 하자, 함께 하자고 하는 분도 있었다"며 "정계개편의 출발점이 손학규가 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상돈 바른미래당 의원도 이날 오전 YTN 라디오 '김호성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를 통해 "양당보다는 그래도 제3의 길을 추구하고자 하는 의원들을 중심으로 두 정당이 합쳐보게 되면, 제3지대 정당으로서 다음번 총선에 한 번 해볼 수 있겠다는 기대와 의지가 있는 메시지"라며 "미래당에서 한국당으로 갈 사람들이 있을 것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평화당에서 한두 명 정도, 또는 두세 명 정도 민주당으로 갈 가능성도 있지 않겠느냐는 이야기가 있다"고 가세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 속에서 평화당의 대다수 의원들은 당의 존재에 의미를 부여하며 정체성을 확고히 해 나가야한다는 의견에 같이하고 있는 모양새다.
박주현 민주평화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회의를 마치고 기자들을 만나 “대다수의 (평화당) 의원님들은 민주당과 호남에서 내부경쟁구도 가져가야 ‘호남이 살 수 있다’ ‘개혁야당 이라는 것이 있어야 문정부도 성공 할 수 있다’라고 한다”며 “평화당이 아무리 어려워도 인내하고 계속 나가야 한다는 존재자체에 의미를 부여하는 분들이 대다수”라고 주장했다.
다만 “일부는 ‘민주당과 입장이 비슷하다면 굳이 우리가 왜 고생을 해야 하나’ ‘오히려 같이 가는게 더 효율적이지 않나’ 이렇게 생각 하시는 분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천정배 의원님이 우리가 창당을 할 때는 안철수가 말도 안돼 는 보수합당 하는 것 에 대해 어쩔 수 없이 분당을 결정 할 수밖에 없는 상황 이였다면 이제는 평화당이 정체성이 무엇인지 하나하나 합의해 나가는 과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했다”고 전했다.[데일리안 = 김민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