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그린벨트 풀고, 미니신도시 만들면…공급 원활? “글쎄”


입력 2018.09.07 06:00 수정 2018.09.07 07:33        이정윤 기자

위례신도시 아파트 값 2년만에 4억원 ‘껑충’

서울 내 대량공급 아닐 땐 큰 효과 어려워

최근 정부가 공급카드를 만지막 거리고 있지만, 서울 내 신도시 규모의 대량공급이 아닌 이상 큰 효과를 기대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아파트 밀집지역 모습. ⓒ연합뉴스 최근 정부가 공급카드를 만지막 거리고 있지만, 서울 내 신도시 규모의 대량공급이 아닌 이상 큰 효과를 기대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아파트 밀집지역 모습. ⓒ연합뉴스

수도권 대표 신도시로 꼽히는 위례신도시는 서울 수요를 분산시켜 주거안정을 꾀하겠다는 목표 하에 2008년부터 송파구 거여동과 장지동 일원 그린벨트를 해제하는 등 총 4만6000가구 규모로 조성됐다.

지금은 어떨까. 위례신도시에서 첫 분양한 ‘위례신도시 엠코타운 플로리체’는 2016년 3월 전용면적 95㎡는 7억1500만원에 실거래 됐다. 약 2년 후인 올해 3월 11억900만원에 거래되며 4억원 가량 상승했다.

또 다른 ‘위례그린파크 푸르지오’는 전용 101㎡가 2016년 2월 6억원 대에 거래됐다가 3개월 후인 그해 5월 8억원 대에 진입했다. 그러다 올해 8월 11억원 대에 매매가 성사됐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서울 집값이 과열되자 정부가 서울에는 그린벨트를 해제하고, 과천‧안산 등 수도권 지역에 신규택지를 검토하는 등 공급정책에 속도가 붙는 분위기다.

하지만 전문가들의 생각은 마냥 긍정적이지 않다. 서울 지역에 신도시 같은 4만~5만가구 수준의 대량공급이 아닌 이상 집값 과열을 어느 정도 잠재울 수는 있겠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진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이마저도 서울시에서 그린벨트 해제에 적극적으로 동참할지 미지수인 상황이다.

현재 서울 내 그린벨트 지역은 서초구(23.88㎢). 강서구(18.91㎢), 노원구(15.90㎢), 은평구(15.21㎢), 강북구(11.67㎢), 도봉구(10.20㎢) 순으로 많다.

일각에서는 어차피 현재 그린벨트 지역은 녹지면적보다는 비닐하우스 등이 방치된 채 버려진 곳이 상당하다며, 그럴 바엔 주택공급에 활용하는 편이 낫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비닐하우스나 논밭으로 돼있는 것과 아파트촌으로 뒤바뀌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며 도심 내 그린벨트를 풀어 주택공급에 활용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또한 신창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조사결과 현재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과천 선바위역 일대 115만6000㎡ 규모의 유휴부지 개발을 통한 주택 7100가구 공급을 포함해 수도권 지역 총 8곳에서 4만가구 가량의 주택 공급을 계획 중이다.

물량 자체는 넉넉하지만, 서울 핵심지역을 중심으로 집값이 상승하는 만큼 수도권 지역의 공급은 서울의 과열된 집값을 잠재우기엔 역부족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무엇보다 확실한 공급카드로 재건축 규제 완화가 꼽히고 있지만, 현 정부는 재건축 규제만큼은 완강한 태도를 이어가고 있는 상태다.

김태섭 주택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추가 공급 자체는 최근 자극받은 수요를 잠재우는 데 분명 효과는 있을 것이다”라며 “다만 공급되는 지역이 서울인지 경기도인지에 따라 그 결과가 많이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서울에서도 5만가구 안팎의 신도시급 공급이 아니라, 몇천가구 공급에 그친다면 눈에 띄는 효과를 거두긴 쉽지 않을 듯싶다”라며 “참여정부와 이명박 정부 때 시작한 신규택지 공급이 아직도 진행 중인 것처럼, 신규택지 공급은 장기적 안목이 필요한 정책이다”라고 덧붙였다.

이정윤 기자 (think_uni@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정윤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