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A형 구제역…“해외유입 맞지만 정확한 경로 찾기 힘들어”


입력 2018.06.11 13:02 수정 2018.06.11 13:05        이소희 기자

역학조사위, 올해 구제역 발생원인 발표…국외 인적·물적 요인 통해 국내 유입 추정

역학조사위, 올해 구제역 발생원인 발표…국외 인적·물적 요인 통해 국내 유입 추정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올해 발생한 A형 구제역에 대한 역학조사위원회의 역학조사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3월 26일부터 4월 1일까지 경기도 김포에서 발생한 A형 구제역 2건에 대해 역학조사위원회 구제역분과위원회가 7일 위원회를 열고, 구제역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원인, 농장 간 전파원인 및 권고사항 등에 대해 집중적인 토의를 거친 결과다.

구제역 발생농장 및 NSP검출 농장 간 지리적 분포 ⓒ농식품부 구제역 발생농장 및 NSP검출 농장 간 지리적 분포 ⓒ농식품부

조사위는 이번 구제역 발생 원인으로 A형 구제역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국가에서 인적·물적 요인을 통해 국내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어느 나라에서 어떤 경로로 바이러스가 옮겨왔는지는 단정적으로 결론 내지 못했다.

검역본부에 따르면, 구제역 상재국가에서 유행하는 구제역 바이러스의 염기서열이 일부만 공개돼 있어 우리나라 분리주와 상동성 비교에는 한계가 있어 정확한 경로를 찾기 힘들다는 설명이다.

다만, 상동성 면에서 구제역 바이러스 유전자 분석결과, 중국 돼지(2013년) 분리주와는 95.7%, 태국 소(2015년) 분리주와 95.6%, 미얀마 소(2015년) 분리3주와 95.6%, 러시아 소(2013년) 분리주와 95.4%의 상동성을 보였지만 특정한 국가와의 인과관계는 찾지 못했다고 전했다.

또한 국내에서의 잔존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했을 가능성은 낮다는 결론이다.

유전자 분석결과 이번 김포 발생 구제역 바이러스는 지난해 연천에서 발생한 바이러스와는 다르게 특정부위에서 유전자 70개가 소실되는 등 전체유전자 분석결과 95.6%로 낮은 일치율을 보였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통상적으로 구제역 바이러스가 야외에서 활동하면 1년에 보통 약 1~2% 밖에 변이가 일어나지 않는데, 1년도 채 지나지 않아서 약 4.6% 이상의 전체 유전자가 변이가 됐다는 것은 국내에 잔존 유전자 변이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생각할 수 있다는 해석이다.

농장 간 전파는 역학조사 결과, 국내 유입 이후에 농장 간 바이러스 전파는 분뇨・가축운반 차량 등을 통해 이뤄졌다고 추론했다.

4월 1일 2차 발생농장과 2차 발생농장의 제2농장을 방문한 분뇨차량이 3월 26일 발생한 1차 발생농장을 방문했고, 2차 발생농장과 2차 발생농장 제2농장을 방문한 출하차량이 1차 발생농장을 방문, 농장 간 바이러스 전파는 분뇨·가축운반차량 등을 통해 이뤄진 것으로 추정됐다.

방역에 대한 평가로는 이번 구제역이 그간 돼지에 백신을 접종하지 않았던 A형이 발생해 전국 확산이 우려됐으나 관계부처·지자체·생산자단체 등이 협력해 최소한의 피해로 마무리한 방역의 모범사례라고 자평했다.

방역당국은 사전준비와 신속한 방역조치로 추가발생을 차단했고, 축산농가는 긴급 백신접종 및 소독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등 방역에 적극 협조하는데 이어 행정안전부(현장점검, 교부세 신속지원), 국방부(소독, 초소근무 지원), 경찰청(이동통제) 등 관계부처가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해 유기적으로 대응했다는 평가다.

이어 조사위는 2018년 동절기를 대비해 구제역 백신 접종 철저, 축산차량에 대한 차단방역 강화, 초동대응 강화를 위한 지자체 역학조사 조직 확보, 외국인 근로자 포함 농장 종사자 교육 강화 등을 권고했다.

이에 검역본부는 돼지에 A형 백신 추가, 백신 비축물량 확대, 스마트 방역체계 구축 등 6월중에 방역 개선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아울러 백신 일제접종과 항체양성률 기준치 미만농가·밀집사육단지·위탁사육 농가 등 방역 취약농가 점검, 축산관계자 및 외국인 근로자 방역교육, 국경검역 강화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소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