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서울 보수 교육감 후보들의 사교육 완화 출사표


입력 2018.05.05 21:59 수정 2018.05.06 06:33        이선민 기자
서울시교육감에 출사표를 던진 네 후보가 4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바른사회시민회의 주최의 정책콘서트에 참석했다. ⓒ데일리안 서울시교육감에 출사표를 던진 네 후보가 4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바른사회시민회의 주최의 정책콘서트에 참석했다. ⓒ데일리안

박선영 “세계적인 기숙학교 등 공교육 특성화 장려”
최명복 “사교육연합회와 교육감 힘 합쳐 정화해야”
두영택 “사교육, 학원 주 4회 휴무로 약화시켜야”
곽일천 “자유학기제로 무너진 공교육 신뢰 회복해야”


서울시교육감에 출사표를 던진 곽일천 전 서울디지텍고 교장, 두영택 광주여대 교수, 박선영 동국대 교수, 최명복 전 서울시의회 교육의원(가나다 순) 등 네 후보가 4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바른사회시민회의와 뉴데일리미디어그룹이 공동주최하는 ‘서울교육 진단과 공교육 정상화 해법-서울교육감 후보 정책콘서트’에 참석해 공교육과 사교육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후보들은 공통적인 질문을 받고 순서대로 답하며 단일 보수교육감 후보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공교육과 사교육의 관계성, 그리고 사교육 부담 완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라는 질문에 박선영 교수는 “대한민국의 공교육은 빌 공(空)자를 쓰는 공교육이다. 아무 것도 없이 학생들을 하향평준화 시키는 교육이 됐다는 사실에 마음이 아프다”며 “학생수는 줄어들고 사교육은 늘어나고 있다. 내실있게 학교다운 학교를 만들어야 공교육이 살아난다. 이것을 살리기 위해서 저의 모든 것을 걸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 방안으로 “직장맘들을 위해 학생들이 0교시에 원하는 활동을 할 수 있는 굿모닝 교실, 방과후에는 수업시간에 부족한 학습을 보충할 수 있는 드림학교, 초등학교부터 세계적인 기숙학교의 단계적 확장을 시행하겠다”며 “4차산업 시대에 학생들의 특성을 더 잘 살릴 수 있는 자사고, 외고 등 특성학교를 더 장려하겠다. 이렇게 공교육을 바로세울 수 있다”고 밝혔다.

최명복 전 교육의원은 “교육감이 감당하는 교육은 공교육과 사교육 2가지다. 공교육은 인성교육을 우선으로 하고 사교육에서는 지식교육을 주로 한다”며 “대성학원 강사 출신인만큼 사교육을 정말 잘 알고 있다. 그런데 현 정부는 사교육을 몰라서 공교육을 살리기 위해 사교육을 죽이려고 한다. 그런 방법으로는 사교육을 결코 잡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사교육을 잡으려면 사교육 업체들과 스타강사들의 불법·탈법·편법·고액과외를 잡아야 한다”며 “교육감이 학원인가만 하고 수수방관할 것이 아니라 인가를 내면서 자동적으로 사교육연합회에 가입하게 하고 연합회에서 ‘자율 정화 조례’를 만들어 스스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50%는 교육감이 관리하면 사교육을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공교육을 살리는 방법은 간단하다. 지금 제일 잘나간다는 입시학원의 강사와 한 고등학교 선생님을 바꿔보자. 어떤 학생들이 입시학원을 가겠느냐”며 “공교육 교사들을 연수를 많이 시켜서 실력을 향상시키는 것만이 비결이다”고 했다.

두영택 교수는 “문재인 대통령은 직접적으로 사교육에 타격을 줄 수 있는 방법은 이해관계가 얽혀있으니 사교육 경감 핵심대책에서 다 빼버렸다”며 “선행학습 때문에 사교육을 한다면 선행학습을 금지하면 된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어땠나. 단칼에 과외 금지를 선언하고 끝내버렸다. 강력하고 엄격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그는 “저는 대통령이 아니라서 그렇게 할 수는 없다”며 “대신 제가 교육감이 되면 일주일에 적어도 4일은 학원을 휴업시키겠다”고 공약했다.

곽일천 전 교장은 “자유학기제와 관련한 통계를 보니 자유학기제가 시행되면서 사교육 참여율이 15.2% 상승했다. 소득이 높은 쪽은 더 많이 상승했다. 사교육비 증가는 공교육의 실패 또는 부실, 불신에서 비롯된다”며 “그 대책 첫 번째는 공교육 신뢰회복이다”고 밝혔다.

이어 “2009년도 교육과정이 한 사이클 지나기도 전에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융합강화와 진로를 위한 선택과목 확장을 취지로 2015년도 교육과정이 도입됐다”며 “그런데 제도만 도입되고 정작 현장에서는 준비 시간이 부족해 이 교육과정을 제대로 시행할 수 있는 곳이 자사고, 외고 뿐이다. 그런데 그것마저도 없애버렸다. 지역별 편차가 커서 어떤 학교에서는 2015 교육과정을 거의 소화를 못한다. 그러다보니 정시가 줄고 수시가 급격히 늘어나 사교육에 의존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선민 기자 (yeatsm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선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