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잔치는 끝났다”…저축은행, 대출 총량규제-금리 인하 ‘이중고’


입력 2018.04.27 06:00 수정 2018.04.27 09:16        배근미 기자

‘중금리대출’ 총량규제 포함-최고금리 인하 압박…위기감 ‘가중’

새 먹거리 찾아보지만 규제에 잇단 발목…“핀테크업체보다 못해”

지난해 순익 1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던 저축은행업계가 울상을 짓고 있다. 대출총량규제에 가계대출 규모가 한계치에 접어든 데다 최고금리 인하 및 각종 규제에 발이 묶이면서 새 먹거리 찾기도 쉽지 않아 업계 전반에 걸쳐 운신의 폭이 더욱 좁아질 것이란 위기감이 팽배해 있다. ⓒ데일리안 지난해 순익 1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던 저축은행업계가 울상을 짓고 있다. 대출총량규제에 가계대출 규모가 한계치에 접어든 데다 최고금리 인하 및 각종 규제에 발이 묶이면서 새 먹거리 찾기도 쉽지 않아 업계 전반에 걸쳐 운신의 폭이 더욱 좁아질 것이란 위기감이 팽배해 있다. ⓒ데일리안

지난해 순이익 1조원을 돌파하며 저축은행 사태 이후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던 저축은행업계가 울상을 짓고 있다. 대출총량규제에 가계대출 규모가 한계치에 접어든 데다 최고금리 인하 및 각종 규제에 발이 묶이면서 새 먹거리 찾기도 쉽지 않아 업계 전반에 걸쳐 운신의 폭이 더욱 좁아질 것이란 위기감이 팽배해 있다.

27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최근 업계의 최대 관심사는 ‘가계대출 총량규제’에 쏠려있다. 금융당국이 작년 3월 시중은행에 대한 대출 규제의 ‘풍선효과’로 저축은행으로 쏠린 대출 수요를 막기 위해 대출총량규제를 도입하면서 정책금융을 제외하고 지난해 상반기 5.1%, 하반기 5.4%의 가계대출 증가율 제한에 나선 것이다.

가계대출 제한에 따른 수익성 악화 위기에 직면하자 저축은행업계는 중금리대출을 통한 돌파구 마련에 주력하고 있다. 이른바 수익성은 낮지만 경쟁력 있는 중금리대출 상품 출시를 통해 보다 다양한 고객을 끌어모아 수익을 보전하는 ‘박리다매 전략’을 구사하겠다는 것이다. 주력 고객들이 중·저신용자인 만큼 지난해에만 3배 가량 늘린 정책금융 중금리상품 사잇돌대출 취급액(4697억원) 역시 전체 금융기관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나 업계의 이같은 노력은 또다시 대출총량규제에 발목이 잡혀 있는 상태다. 정부가 서민금융 지원의 일환으로 금융기관에 대한 인센티브까지 내걸며 중금리대출 확대를 요구하고 있지만 정작 저축은행이 자체적으로 출시한 중금리대출 상품까지 총량규제 대상에 포함시키면서 대출 공급 자체에는 여전히 차질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 역시 제도 완화를 위한 검토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으나 올해 적용될 가이드라인은 4개월이 지나도록 감감무소식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저축은행들이 서민금융에 집중할 수 있도록 대출규제에서 중금리대출을 제외해 달라는 이야기는 1년 넘도록 있었지만 여전히 아무런 움직임도 없는 상황”이라며 “업계에서는 사실상 지난해에 이어 동일한 수준의 규제가 이어질 것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더불어 제2금융권을 이른바 ‘약탈적대출’로 규정하고 금리 인하 압박에 나선 당국의 정책 기조 역시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당장 지난 2월 법정최고금리가 기존 27.9%에서 24%로 인하된 데 이어 오는 30일부터는 연체가산금리 인하 시행을 앞두고 있다. 여기에 저축은행 차주 대다수가 연 20% 이상의 고금리를 부담하고 있다며 금융당국 차원의 20% 상한 금리 재조정 압박이 시작됐고 금리 인하에 따른 소급 적용도 요구받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앞으로의 위기를 핀테크 활성화와 고객신용등급 고도화 등 다양한 활로와 신사업 모색을 통해 돌파하겠다는 저축은행업계의 다짐 역시 규제의 벽에 부딪히고 있다. 당장 인터넷전문은행은 물론 핀테크업체들에게도 문을 넓힌 해외송금업무는 물론 독자적 간편결제나 카드 발급 또한 사실상 막혀 있는 상황이다. 적지 않은 비용과 시간을 들여 모바일 앱을 만들더라도 광고 규제에 묶여 있어 카카오뱅크, 시중은행 앱과 같은 대대적인 노출 역시 불가능하다.

업계의 또다른 관계자는 “최근 인터넷전문은행이나 핀테크업체 등으로 금융이 한층 다양화되면서 과거처럼 저축은행들이 예금과 대출만으로 생존할 수 없는 구조가 됐지만 규제는 이같은 현실을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가 중금리대출이나 핀테크를 통해 서민금융을 활성화시키겠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대다수의 중·저신용자들이 이용하는 저축은행업계에서만큼은 통용되지 않는 이야기”라고 꼬집었다.

배근미 기자 (athena350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배근미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